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북두칠성과 단명소년 / 北斗七星─短命少年 [문학/구비문학]

    얼마 살지 못할 팔자를 타고난 소년이 북두칠성에게 빌어서, 그 덕택으로 오래 살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하며, ‘남두칠성과 단명소년’이라고도 한다. 중국 진(晉)나라 때 간보(干寶)의 『수신기(搜神記)』 권1에 관로(管輅)의 이야기로 실려 있으며,

  • 북률동척농장소작쟁의 / 北栗東拓農場小作爭議 [역사/근대사]

    1924년-1925년까지 황해도 재령군 북률동척농장의 소작농민들이 지주인 동양척식주식회사를 상대로 전개한 소작농민항쟁. 동양척식주식회사는 1924년 봄부터 일본인의 이상촌을 건설할 목적으로 한국 소작농민의 소작지를 박탈하여 일본인 이주민에게 주었다. 그리고 모범농장을

  • 북명산 / 北溟山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원산시와 덕원군에 있었다고 추측되는 산. 『삼국사기』에는 북명(北溟)의 지명이 두 번 나온다. 신라의 남해왕 때 북명인(北溟人)이 밭을 갈다가 예나라 왕의 인(印)을 얻어 왕에게 바쳤다는 기록과, 고구려 대무신왕 때 괴유(怪由)의 병이 위독하여 왕이 친히 가서

  • 북미실업주식회사 / 北美實業株式會社 [경제·산업/산업]

    1912년 재미한인들이 설립·운영한 실업주식회사. 북미실업주식회사는 1912년 1월 김인수, 송종익, 김종혁, 조성환, 김기만, 정원도, 임준기, 손양선, 강번, 안창호를 발기인으로 하여 출범하였다. 자본금 총액 45,000달러로, 매주 300달러로 150주로 예정하고

  • 북병영 / 北兵營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함경도 경성에 설치되었던 병마절도사의 진영. 1400년(정종 2)에 함경도병마절도영으로 개설되었다가, 1467년(세조 13) 북청(北靑)에 남병영이 설치되면서 북도병마절도영으로 개칭되고 관할구역을 남병영과 분담하게 되었다. 북병영은 조선 초기 6진개척의 보루

  • 북산 / 北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중남면과 장진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070m. 장진강과 부전강 사이에 해당되는 부전고원의 남단부에 있는 고봉으로 북동쪽에 맹산(孟山, 1,916m), 동쪽에 고대산(高大山, 1,768m), 남동쪽에 오봉(五峰, 2,004m)이 솟아 있고, 서쪽은

  • 북산서원 / 北山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대북리에 있는 서원. 1846년(헌종 12)에 장해빈(張海濱, 1547∼1657)을 제향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이다. 처음에 ‘경화사(景華祠)’라는 사우를 건립하여 위패를 모시다가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195

  • 북새곡 / 北塞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구강(具康)이 지은 가사집. 단권(107장). 필사본. 이 책에 실려 있는 작품을 연대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황계별곡(黃溪別曲)」(18세)·「희주가(喜酒歌)」(22세)·「동호별곡(東湖別曲)」(24세)·「제석탄(除夕嘆)」(36세)·「등등가(燈燈歌)

  • 북새잡요 / 北塞雜謠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홍양호(洪良浩)가 지은 한시. 북쪽 변방의 풍물을 노래한 모두 62수의 시로, 『이계집(耳溪集)』 권1에 실려 있다. 제목에서 요(謠)라고 밝힌대로 시형(詩型)은 일정하지 않고, 4·5·6·7언이 섞여 있다. 지은이는 의주·홍주·경흥부사와 평안감사 등의 외

  • 북선상업은행 / 北鮮商業銀行 [역사/근대사]

    1918년 함흥에 설립된 민족계 은행. 김승환을 필두로 하는 함경남도지방의 유명실업인과 지주계층 인사들이 중심이 되어 1918년 6월에 설립하였다. 원산이 일본상인에 의해 개항된 뒤 일본상인들이 대거 진출해 이 곳을 ‘북선 제일의 일인 이주지’로 개발하고자 하려는 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