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북관지 / 北關誌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무신 신여철이 함경도 십부(十府)의 읍지를 개괄 1693년에 간행한 지방지. 목판본. 1784년에는 신여철의 후손 신대겸(申大謙)에 의하여 중간되었다. 내용 구성은 함경도 십부(十府)의 읍지를 개괄한 것으로 상권에 경성(鏡城)·길주(吉州)·명천(明川)·부령(富
북구(광주광역시) / 北區(光州廣域市) [지리/인문지리]
광주광역시 북부에 위치한 구(區). 동쪽으로는 담양군과 화순군, 서쪽으로는 광산구, 남쪽으로는 서구와 동구, 북쪽으로는 담양군과 장성군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7°01'∼126°50', 북위 36°06'∼35°15'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120.30㎢, 인구는
북구(대구광역시) / 北區(大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대구광역시 북부에 위치한 구(區). 동쪽으로는 팔공산, 서쪽으로는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달성군 다사읍, 남쪽으로는 중구, 동구, 서구, 북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8°30′∼128°37′, 북위 35°52′∼35°59′에 위치하고 있
북구(부산광역시) / 北區(釜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북서부에 위치한 구. 동쪽으로는 금정구, 서쪽으로는 사상구, 남쪽으로는 부산진구, 북쪽으로는 김해시 대동면과 접해 있다. 동경 128°59'∼129°04', 북위 35°11'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39.36㎢, 인구는 31만 484명이다.(2015년 현
북구(울산광역시) / 北區(蔚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울산광역시 동북부에 위치한 구(區). 동쪽으로는 동구, 서쪽으로는 울주군 범서읍, 남쪽으로는 태화강 하류 염포만을 경계로 중구와 남구, 북쪽으로는 경주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9°17'∼129°28', 북위 35°30'∼35°40'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157.
북극성 / 北極星 [과학/과학기술]
하늘의 북극에 있는 별. 현재 북극성은 하늘의 북극에서 약 1°가량 떨어져 있지만, 지구의 세차운동 때문에 북극성의 위치는 조금씩 달라지고 수백 년 후에는 북극성이라는 이름에 어울리지 않게 하늘의 북극 위치에서 많이 떨어져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북극성은 하늘의 북극
북극성콜호즈 / 北極星콜호즈 [사회/사회구조]
소련의 우즈베크공화국에 있었던 고려인 집단농장. 소련 전국에서 가장 크게 성공한 집단농장으로, 김병화의 뛰어난 지도력이 크게 알려졌다. 언론에서는 ‘극성 콜호즈(kolkhoz)’라고 표기하기도 하였지만, 김병화가 세상을 떠난 뒤에는 ‘김병화 콜호즈’라고 불렸다. 192
북노전신선 / 北路電信線 [경제·산업/통신]
1891년에 준공된 한성에서 원산 간의 전신선로. 북로전신선은 우리 나라에서 세번째로 가설된 기간 전신선로이다. 북로전신선의 가설은 우리 정부가 자의로 발안하여 가설을 위한 자재의 준비와 기술부담도 우리의 조선전보총국에서 단독으로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북대봉 / 北大峯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양덕군 오강면과 쌍룡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327m. 이 산은 낭림산맥의 남단에서 멸악산맥으로 이어지는 곳에 있는 북대봉산맥의 주봉이다. 남북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이 북대봉은 그 지형이 종순형산지(從順形山地)이며,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합림지대를 이루
북대천 / 北大川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길주군과 함경남도 단천군의 경계에 있는 두류산(頭流山)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117.6㎞. 유역면적 1,420㎢.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이마이천(泥磨耳川)이라 기록되어 있고, 《증보문헌비고》에는 북천(北川) 또는 북대천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