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부총제사 / 副摠制使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삼군도총제부의 관직. 1391년(공양왕 3) 전군·후군을 폐지하고 중군·좌군·우군으로 구성된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할 때 두어졌다. 도총제사, 삼군총제사 다음의 관직으로 통헌대부 이상의 관리가 임명되었다.
부판관 / 副判官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출정군의 일원. 병마부사·판관 등과 함께 지휘관인 병마사의 참모 역할을 한 듯하다. 출정군의 기본 편제인 중군·좌군·우군의 삼군에 모두 있었다. 판관에게 호위 및 잡역을 담당하는 위신종졸 8명이 배속된 점으로 보아 이들에게도 그에 준하는 소정의 호위병이 딸려
부평 / 富平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부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주부토군(主夫吐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에 장제(長堤)로 고쳤고, 고려 초에는 수주(樹州)라 하였다. 995년(성종 14) 단련사(團練使)를 두었다가 뒤에 폐하였으며, 1150년(의종 4) 안남도호부(安南都護
부평광산 / 富平鑛山 [경제·산업/산업]
인천광역시 남구 연수동에 있는 금·은·납의 광산. 경인선의 주안역에서 남동쪽으로 2㎞ 가량의 지점에 위치한다. 1972년 6월주식회사 연풍광업(延豐鑛業)에서 광구를 인수하여 하루 600톤 처리 및 연산 약 4,000톤 처리규모의 선광장(選鑛場)을 갖춘 광산이다. 수반되
부평구 / 富平區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동부에 위치한 구. 동쪽으로는 경기도 부천시, 서쪽으로는 서구, 남쪽으로는 남동구 및 경기도 시흥시, 북쪽으로는 계양구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6°41′∼126°46′, 북위 37°27′∼37°31′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32.00㎢, 인구는 55만 5
부평군읍지 / 富平郡邑誌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부평군(현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장서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1899년 편찬된 『부평군읍지』와 편찬연대 미상의 『부평부읍지』가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부평내연발전소 / 富平內燃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인천광역시 부평구 갈산동에 있는 발전소. 디젤발전기 6대 및 가스터빈발전기 1기를 보유하고 있는 시설용량 8만 5,000㎾의 내연발전소이다. 1960년대 말 당시 경인지구의 급격한 전력수요 증가로 인한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긴급히 설치된 발전소로서, 1968년 초부
부평도호부청사 / 富平都義府廳舍 [예술·체육/건축]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943번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 건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 당초의 인천도호부 건물은 동헌, 객사, 근민당, 내아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하나, 이곳에 초등학교를 세우면서 대부분의 건물이 헐렸다. 이 건물은 동헌이라기보다는 내아일
부평수리조합농민운동 / 富平水利組合農民運動 [역사/근대사]
1926-1927년. 경기도 부평수리조합 조합원들이 조합비의 과다 징수 및 이를 근거로 한 소작료 인상을 반대하여 일으킨 운동. 이 운동은 일제의 식민지 농업 정책에 반대한 운동으로, 전개 과정에 있어 운동 주체가 초기의 중농, 소농층에서 곧 소작농 등 빈농으로 전환하
부평향교 / 富平鄕校 [교육/교육]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에 있는 향교. 1127년(인종 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계양산(桂陽山) 아래에 창건되었다. 병자호란 때 소실되었다가 난 후 중건하였으며, 1921년에 대성전과 부속건물을 보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