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 단행본 1,38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단행본
  • 유항시집 / 柳巷詩集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신 한수의 시 「팔월초구일야좌」·「봉화한산군소시」등을 수록하여 1400년에 간행한 시집. 1책. 이 책의 초간본은 저자의 둘째아들 상질(尙質)이 유고를 수집·편차하여 1398년권근(權近)의 비점(批點)을 받아 정고본(定稿本)을 만들고, 이를 문생인 성석용(成

  • 육가잡영 / 六家雜詠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위항시인 정남수·최기남 등 6인의 시 210수를 수록하여 1660년에 간행한 시집. 1권 1책. 운각필서체자(芸閣筆書體字). 정남수(鄭柟壽)·최기남(崔奇男)·남응침(南應琛)·정예남(鄭禮男)·김효일(金孝一)·최대립(崔大立) 등 6인의 시를 모은 것으로 절구(絶句

  • 윤음언해 / 綸音諺解 [언어/언어/문자]

    왕이 백성이나 관리들에게 내리는 조칙(詔勅)의 일종인 윤음을 언해한 책. 윤음은 대개 비상시의 민심수습, 흉년에 민정위로, 세금 및 공물(貢物)의 탕감, 왕가(王家)의 경사시 하사품(下賜品), 천주교에 대한 척사(斥邪)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대부분 영조·정조 때의

  • 율정집 / 栗亭集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인 윤택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율정집(栗亭集)』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 권106 「윤택열전」과 『용재총화』 권8, 『대동운부군옥』의 「찬집서적목록(纂輯書籍目錄)」,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이색(李穡, 13

  • 은대집 / 銀臺集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인 이인로의 고시·율시·고부 등을 수록한 시문집. 이인로 자신이 평생에 지은 저서를 모아 손수 편찬한 것이라고 하나, 지금은 일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이 책의 규모는『고려사』의 이인로 열전에 의하면 원집 20권, 후집 4권의 방대한 저술이었다고 한다. 그 내

  • 은촌내방가사집 / 隱村內房歌辭集 [문학/고전시가]

    1971년 회갑문집간행위원회에서 조애영의 회갑기념으로 편찬한 가사집. 이 책은 저자의 회갑기념으로 백철(白鐵)·임동권(任東權)·장사훈(張師勛) 등 24명의 회갑문집간행위원회에서 편찬하였다. 내용은 6부로 분류, 1∼5부까지는 가사작품이고, 6부는 가사문학 일반에 대한

  • 음운첩고 / 音韻捷考 [언어/언어/문자]

    한자(漢字) 1만 1419자를 한자음별로 분류, 나열하고 각각의 한자에 그 석(釋)을 달아놓은 한자자전. 불분권(不分卷) 1책. 필사본. 한글자모의 배열순서나 한글표기로 보아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 석음(釋音)으로 보아 중부방

  • 응용자재조선어법상해 /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 [언어/언어/문자]

    노기주(魯璣柱)가 일본인 공무원의 조선어 습득을 돕기 위해 지은 문법서. 1924년에 박문서관(博文書舘)에서 재판을 발행하였다. 재판의 내용도 초판과 거의 동일하나 초판에서는 정오표에 185쪽의 ‘「ᄭᅬ다」 ᄇᆡ곱’를 ‘「보다」 ᄇᆡᆨ곱’으로 수정한 내용이 들어 있는

  • 응제시주 / 應製詩註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문신 권람이 조부 권근의 응제시를 해석하여 1461년에 간행한 주석서. 1책. 목판본. 권근이 1396년(태조 5)에 소위 표전문사건(表箋文事件)을 해결하기 위하여 명나라에 갔는데, 명제(明帝)가 조선에서 명에 보낸 표전의 글귀 중에 불손한 말이 있다고 트집을

  • 의암유고 / 宜庵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서경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5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2책. 목활자본. 1865년(고종 2) 5대손 영지(榮智)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그 뒤 1928년이왕직(李王職)의 소장본을 등사한 필사본도 남아 있다. 권두에는 1863년(철종 14) 김영

페이지 / 1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