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부인치가사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부녀자 교훈서. 1책. 필사본. 이 책은 「치가사」·「회심곡(回心曲)」·「언간록(諺簡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치가사」는 한 여인이 겪은 치가의 과정을 상술하는 전반부와 출가하는 딸에게 치가의 도리를 훈계하는 후반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부장 / 部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나 포도청 등에 속해 있던 무관직. 오위의 부장은 정원이 25인이다. 부장은 각기 자기의 소속부의 병종을 이끌고 입직·행순·시위 등의 책임을 졌으며, 전투훈련 등에도 각 부의 병종을 지휘, 감독하였다. ≪속대전≫에 법제화된 이후 좌·우 포도청에도 각각 부
부장품 / 副葬品 [예술·체육/공예]
무덤 안에 시체를 안치할 때 함께 넣어 매장하는 물품. 중국에서는 ‘수장품(隨葬品)’, 일본에서는 ‘부장품’이라고 하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유물·매장유물·부장품 등 여러 가지 용어로 불리고 있다.그러므로 무덤 내외에 고정으로 시설한 것들, 예를 들면 즙석(葺
부적 / 符籍 [종교·철학]
재앙을 방지하고 귀신을 쫓기 위해 사용하는 것. 부적의 재료는 종이, 돌, 나무, 청동, 바가지, 대나무 등이다. 이 중에서 종이로 만든 부적이 가장 많이 쓰인다. 부적의 그림은 용, 호랑이, 독수리 등의 동물과, 해, 달, 별 등이 많으며, 주문으로는 범어 가운데 옴
부전강 / 赴戰江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신흥군 동상면에 있는 고대산(高大山, 1,768m)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개마고원의 중앙을 흘러 장진군 동하북면에서 압록강의 지류인 장진강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121㎞. 수원지인 부전령산맥은 단층산맥으로, 동해 사면은 단층애(斷層崖)로서 1,000m 이상의
부전강수력발전소 / 赴戰江水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함경남도 신흥군에 있는 유역변경 계단식 수력발전소. 설비용량 26만 2,000㎾이며, 6개의 발전소로 나뉘어 있다. 제1발전소는 신흥군 성흥리에 있으며 발전용량은 12만 9,600㎾이고, 제2발전소는 송하리에 있으며 발전용량 4만 6,000㎾, 제3발전소는 동흥리에 있
부전고원 / 赴戰高原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신흥군에 걸쳐 있는 고원. 개마고원의 서부를 이루는 평균 1,200m 가량의 파랑상의 고원이다. 서쪽은 낭림산맥(狼林山脈), 동쪽은 부전호(赴戰湖)의 동쪽에 솟은 두운봉(頭雲峰, 2,487m)·북수백산(北水白山, 2,522m)·백산(白山, 2,379m)
부전령 / 赴戰嶺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신흥군 영고면과 동상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1,445m. 부전령산맥의 백역산(白亦山, 1,856m)과 백암산(白巖山, 1,741m)간의 안부(鞍部)에 위치하고 있다. 남북방향의 고개로 남쪽 사면은 동해로 흘러드는 성천강의 상류계곡에 이어지며, 북쪽 사면은
부전령산맥 / 赴戰嶺山脈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의 동해안 가까이를 따라 동북동에서 서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산맥. 마천령산맥에서 함경산맥과 연결되는 산맥이다. 함경산맥과 함께 지괴운동을 수반한 융기운동에 의하여 생성된 것으로 성인상 태백산맥과 같다. 종래 이들 산맥은 묘향산맥의 연장이라고 하였으며 또한 랴
부전성 / 副典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장악원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잡직의 하나. 임시로 채용된 체아직 녹관이었으므로 장악원이 매년 네 차례 추천서를 이조에 보고하여 사령서를 받았다. 성종 때 처음 보이고, 품계는 종9품이었다. 모두 23인으로 악생 6인, 아공 12인, 관현맹인 4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