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부산정치파동 / 釜山政治波動 [정치·법제/정치]

    1952년 여름, 제2대 대통령선거에서 재집권하기 위해 직선제 개헌안을 강압적으로 통과시키려 한 이승만정권의 폭력행위로 일어난 일련의 사태. 1952년 1월 이승만은 국민회, 조선민족청년단, 대한청년단, 노동총연맹 등 어용단체를 동원 관제데모를 부초겼고, 정치깡패집단인

  • 부산좌동·중동유적 / 釜山左洞·中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부산시 해운대구 좌동·중동의 구석기 산포지와 좌동의 삼국시대의 고분군 유적. 좌동과 중동 구석기시대 유적은 직선거리로 300m 남짓한 근거리에 인접해 있다. 1990년 지표조사에서 확인한 청사포 구석기 유적과 산 하나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고 있다. 유적은 해발 45m선

  • 부산진구 / 釜山鎭區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중앙에 위치한 구. 동쪽으로 연제구, 서쪽으로 사상구, 남쪽으로 서구·동구·남구, 북쪽으로 북구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9°00'∼129°05', 북위 35°07'∼35°11'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29.70㎢, 인구는 38만 1572명(2015년 현

  • 부산진순절도 / 釜山鎭殉節圖 [예술·체육/회화]

    조선 후기의 화가 변박(卞璞)이 그린 기록화. 보물 제391호.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45㎝, 가로 96㎝. 육군박물관 소장. 임진왜란 당시의 격전 장면을 도회(圖繪)한 그림으로, 「동래부순절도」와 함께 1709년에 처음 그려졌으나 없어지고, 이 그림은 1760년

  • 부산포진 / 釜山浦鎭 [지리/자연지리]

    경상도 동래현(東萊縣)에 있던 수군의 거진. 『신증동국여지승람』권 23 동래현(東萊縣) 관방조(關防條)에 “釜山浦鎭 在縣南二十一里 有左道水軍僉節制使營 所管 豆毛浦 海雲浦 鹽浦 甘浦 包伊浦 漆浦 烏浦 丑山浦 多大浦 西生浦”라 하였으며, 이어서 “有恒居倭戶”라는 구절도 보

  • 부산학생항쟁 / 釜山學生抗爭 [예술·체육/체육]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의 부정심판으로 일어난 학생시위사건. 1940년 11월 23일 부산에서는 경남학도전력증강국방경기대회가 열려 부산시의 각 학교 학생들이 참가하여 단체경기를 가졌다. 그런데 이 때 심판을 맡은 일본군 대좌 노다이(乃台)가 한국인 학교에서 1, 2등을 할

  • 부산화력발전소 / 釜山火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화력발전소. 석탄과 중유 혼소용 기력발전설비 2기와 중유 전소 기력발전설비 2기로 구성된 총시설용량 33만㎾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부산 및 영남지역 전력공급원으로서 연간 약 29억㎾h의 전력생산능력을 가지고 있다. 지역적으로 도심에

  • 부서 / 附書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해례≫의 본문 예의편에서 규정한 훈민정음(한글) 철자법의 하나. 훈민정음은, 우리말의 각 음절을 초성(初聲)·중성(中聲)·종성(終聲)으로 각각 분석한 다음, 이들을 올바르게 나타내기 위하여 초성글자와 중성글자로 따로따로 창제되었으며, 종성은 초성글자로 나타내

  • 부설전 / 浮雪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불교소설. 1책. 한문필사본. 변산 월명암(月明庵) 소장본이 현재로서는 유일본이다. 월명암의 초창자인 부설거사(浮雪居士) 일가의 성도담(成道譚)을 승전형식(僧傳形式)으로 소설화한 것이다. 이 「부설전」 외에 부설에 관한 설화도 전승되고 있다. 일련의

  • 부성 / 富城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서산 지역의 옛 지명. 원래 백제의 기군(基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부성군으로 고치고 소태(蘇泰)ㆍ지육(地育) 등을 영현(領縣)으로 두었다. 893년(진성여왕 7) 최치원(崔致遠)이 태수가 되었다. 1144년(인종 22) 현령을 두었고, 1182년(명종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