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부산북정패총 / 釜山北亭貝塚 [역사/고대사]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북정마을에 있는 신석기·삼국시대 패총 유적. 북정마을은 낙동강 하류 끝 부분에 형성된 삼각주 평야의 서쪽에 있으며 해발 38.8m의 단독 구릉 북쪽에 자리잡고 있다. 이곳에는 구릉 전반, 특히 표고 15∼20m에 걸쳐 조가비가 널려 있으며 주로
부산서원 / 浮山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진변리에 있는 서원. 1719년(숙종 4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집(金集)과 이경여(李敬輿)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같은해에 ‘부산(浮山)’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부산수안동패총 / 釜山壽安洞貝塚 [역사/선사시대사]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에 있었던 초기철기시대의 조개더미. 이 유적은 원래 낙민동과 수안동 사이에 분포하는 낮은 대지(臺地)의 서남 경사면일대와 그 앞의 저습지인 미나리밭일대에 넓게 퍼져 있었던 저지성(低地性) 함수산(鹹水産) 조개더미로서, 현재 낙민동유적 가운데 구릉
부산시립무용단 / 釜山市立舞踊團 [예술·체육/무용]
1973년 시민들의 정서함양과 지역춤 문화발전을 위해 창단된 부산광역시 산하의 시립무용단체. 1973년 부산시민회관 대강당에서 「아! 동래성(東萊城)」으로 창단공연을 가진 이래 매년 2회 정기공연으로 제37회의 정기공연과 여러 가지 행사에 참여하였다.창단공연 당시 부단
부산암남동패총 / 釜山巖南洞貝塚 [역사/선사시대사]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신석기시대 말기의 조개더미. 1923년에 일본인 도리이(鳥居龍藏) 등에 의하여 발견된 이후, 여기에서 출토, 채집된 유물들은 현재 일본의 경도대학(京都大學)의 ‘우메하라(梅原末治) 고고자료’와 덴리대학 참고관(天理大學參考館)에 분산 소장되
부산어린이대공원 / 釜山─大公園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어린이대공원. 부산어린이대공원은 백양산(642m)과 금정산(408m)의 산곡과 산복 경사지에 걸쳐 있는 공원으로 다양한 시설이 구비되어 있는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가득한 도심 속의 자연공원이다. 백양산 자락에 들어서 있는 어린이대공원의
부산역 / 釜山驛 [경제·산업/교통]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기차역. 임시정거장으로 초량역과 부산역 사이 선로의 연장선상에서 1908년 4월 1일에 보통역으로 업무가 시작되었다. 1908년 3월 공사비 97만 4천원을 들여서 부산역 본관과 부대설비 공사에 착수하여 1910년 10월에 준공하였다. 정
부산영도태종대 / 釜山影島太宗臺 [지리/자연지리]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명승지. 면적은 53만 2390평이고, 1972년 6월 26일 부산기념물 제28호로 지정되었다가 2005년 11월 1일 국가 지정 문화재 명승 제17호로 지정되었다. 영도의 남단 일대로 최고봉은 높이 250m이고, 산 전역이 수십 년 된
부산영선동유적 / 釜山瀛仙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에 있는 신석기시대의 조개더미 유적. 이 유적에서는 즐문토기, 타제와 마제의 돌도끼 등이 출토되었는데 즐문토기는 점토에 석립(石粒)과 장석(長石)을 섞은 태토로 제작하였다. 그릇의 종류는 호(壺)·발(鉢)·완(盌) 등이 있으며, 바닥은 모두 첨저
부산용두산공원 / 釜山龍頭山公園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에 솟은 용두산에 조성된 공원. 부산시가의 한 가운데 위치하여 부산시민의 안식처이며, 부산 내·외 관광객이 제일 먼저 찾는 명소이다. 용두산은 광복 전에 일본인들이 용두산신사를 세웠고 그 뒤 산 일대에 공원을 조성하였다. 광복 후 신사는 철거되고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