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부담 [문학/구비문학]

    편자·연대 미상의 소화집(笑話集). 1책. 국문필사본. 이 책의 내용은 이병기(李秉岐)의 저서들에 소개되어 있는 약간 편을 통하여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원래 ‘부담’이란 ‘세상에 떠돌아다니는 근거 없는 말’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이 낱말을 책 이름으로 삼은 직접적

  • 부대언 / 副代言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밀직사의 정3품 관직. 정원은 좌·우 각 1인이었다. 고려 전기의 부승선(副承宣)이 1276년(충렬왕 2) 부승지로 고쳐졌다가 1310년(충선왕 2) 다시 개편된 것이다. 1356년(공민왕 5) 문종 때 부승선으로 환원되었고, 1362년 다시 밀직사의 설치

  • 부동사 / 副動詞 [언어/언어/문자]

    부사형 어미 혹은 연결어미를 가지는 용언의 활용형. 국어 문법에 부동사의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이는 알타이 언어학자 람스테트(Ramstedt,G.J.)이다. 그는 알타이어학의 전통에 따라 국어의 용언을 그 어미활용에 의하여 정동사·부동사·동명사의 셋으로 크게 나누고

  • 부두 / 埠頭 [지리/인문지리]

    항구에서 배를 대고 여객이 타고 내리거나 짐을 싣고 부리는 항만시설. 자연 그대로의 지형·지물을 이용하기도 하나 인공적으로 해안의 일부를 매립하거나 축조하는 것이 보통이다.부두의 발달은 여섯 단계로 나누어지는데, 처음에는 선박의 피난이나 접안이 유리한 만입해안(灣入海岸

  • 부두노동자 / 埠頭勞動者 [사회/사회구조]

    부두에서 하역작업에 종사하는 노동자.근로자. 좁은 뜻에서는 항구에 입항하는 선박의 짐을 내리고 싣는 작업을 하는 노동자만을 지칭하기도 한다. 이들의 작업내용은 선박의 화물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비롯해, 화물의 보관과 관련한 부두창고의 입·출고작업, 타지수송과 집하(集荷)

  • 부랑자경고가 / 浮浪子警告歌 [문학/고전시가]

    최찬식(崔讚植)이 지은 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410구이며, 음수율은 4·4조이다. 1918년 일본 동경에서 우에노(上野政吉)가 발행하던 『반도시론(半島時論)』에 게재, 발표되었다. 가사작품의 표제에서 보는 것처럼, 사회의 문제아들에 대한 경고와 훈계를 노

  • 부령 / 副令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친부의 종5품 관직. 영(令)이 영·부령으로 구분된 것은 종친의 4품산계를 보면 처음부터 정4품의 선휘대부·광휘대부, 종4품의 태성대부·광성대부로 분리되어 있었다. 1457년(세조 3) 7월 관직도 산계에 맞추어 정종2자(正從二資)로 구분하게 됨으로써 부령

  • 부령군 / 富寧郡 [지리/인문지리]

    광복 당시 함경북도 북동부에 있었던 군. 동쪽은 동해와, 서쪽은 무산군, 남쪽은 경성군과 청진시, 북쪽은 회령군·종성군·경흥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9°20′∼130°12′, 북위 41°47′∼42°18′에 위치하며, 면적 1,900.67㎢, 인구 6만 4789명(

  • 부령군읍지 / 富寧郡邑誌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부령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부령부읍지』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관원(官員)·성지(城池)·관우(館宇)·방사창사(坊社倉舍)

  • 부령수력발전소 / 富寧水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부령군 부령동에 있는 소형수력발전소. 제1·2·3발전소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발전소는 부령1동에, 제2·3발전소는 부령2동에 위치하고 있다. 제1·2발전소는 1936년 7월에 착공하여 1940년 12월에 완공하였고, 제3발전소는 1937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