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부고 / 訃告 [사회/가족]
사람의 죽음을 알리는 통보. 상례(喪禮) 중의 한 절차이다. 부고의 서식과 부고를 보내는 절차가 예서(禮書)에 나타나는 것으로 볼 때, 한국에서 부고제도가 시행된 시기는 유교식 가례가 수용된 고려 말 이후라고 볼 수 있다. 예서에 의하면 초상이 나면 호상(護喪)과 상례
부곡 / 部曲 [사회/촌락]
우리 나라 전근대사회에 존속했던 특수한 계층의 사람들이 거주하던 지역. 부곡이라는 명칭은 우리 나라뿐만 아니라 전근대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역시 사용되었다. 그러나 중국이나 일본에서 사용된 부곡의 의미와 개념은 우리 나라와 매우 다르다. 대체로 호족세력 등에 예속되어
부곡온천 / 釜谷溫泉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거문리에 있는 온천. 천질(泉質)은 유황천(硫黃泉)으로 매끄럽고 부드럽다. 수소이온농도(pH)는 9.16이다. 만성피부병·관절염·신경통·위장병·동맥경화증·치질·변비·부인병 등에 효과가 있다. 수온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50∼75℃의 고온이다. 목
부공수정 / 副公須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향리직. 1018년(현종 9)의 향리정원규정에는 공수사가 나타나므로 그 사이의 어느 때로 추정된다. 부공수정은 지방관청의 운영경비에 충당하기 위하여 각 관청에 지급된 공해전을 파악, 관리하고 경작자로부터 일정한 전조를 거두어들이는 임무를 맡았다. 정원은 주
부교리 / 副校理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홍문관의 종5품 관직. 정원은 2인이었다. 세조 때에 혁파되었던 집현전의 기능을 부활시키기 위하여 예문관을 확대, 개편하면서 1470년(성종 1) 설치하였다가, 1479년 그 기능이 홍문관으로 분리 독립되면서 그대로 직제화되었다. 홍문관은 조선시대 최고의 문
부교사 / 富敎司 [역사/근대사]
1882년 설치되었던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산하의 관서. 1880년 12월 설치된 통리기무아문이 1882년 6월 임오군란 이후 폐지, 같은 해 11월 확충, 재건되었다. 다음달인 12월 통리아문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으로, 통리내무아문은 통리군국사무아문으로 각각 개칭되었는
부군 / 부군 [사회/촌락]
함경북도 지방의 촌락사회에서 관행되었다고 전하는 봉사 형태의 협동노동. 함경북도 명천군 하운면 명천동에서는 환자가 생겨서 농사일이 뒤처지거나 곤란을 받는 농가, 혹은 주택의 신축이나 개축, 10세 이하의 사망자가 생겨서 장례를 치러야 할 때, 그밖에 농가에서 곤란한 사
부남군도 / 扶南群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재원리에 속하는 섬. 목포시에서 북서쪽으로 55㎞ 떨어져 있으며, 부남도를 비롯하여 입모도(笠帽島)ㆍ굴도(屈島)ㆍ갈도(葛島)ㆍ대사삼도(大私三島)ㆍ소사삼도(小私三島)ㆍ동현서(東玄嶼)ㆍ서현서(西玄嶼) 등의 무인도로 구성된다. 유인도인 부남도는 동경
부남서원 / 府南書院 [교육/교육]
평안북도 선천군 선천읍 명륜동에 있었던 서원. 1697년(숙종 2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만중(金萬重)과 박태보(朴泰輔)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사우(祠宇)·강당·재실 등이 있었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부녀교훈가 / 婦女敎訓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필사본. 다른 계녀가(戒女歌)와 마찬가지로 친정 어머니가 시집가는 딸에게 교훈을 주고자 쓴 글이다. 작품의 형식은 4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53구이며, 2음보 1구로 계산하면 305구이다. 4·4조가 주축이고, 3·4조도 상당수가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