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봉황대 / 鳳凰臺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줄거리는 「이대봉전」과 대동소이하다. 개작된 부분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양상은 근대계몽기 이후의 변화된 제도와 의식이 다소 개입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러한 예로 주인공의 구원자 성격이 바뀐 것을 들 수 있다. 「이대봉전」에서의 구원자는 일
봉황문 / 鳳凰文 [예술·체육/공예]
상서로움을 상징하는 상상적인 봉황새를 나타낸 장식 무늬. 봉황은 중국에서 닭의 머리에 제비의 턱, 뱀의 목, 거북의 등, 물고기의 꼬리 등 여러 짐승의 형상을 조합시켜 만들어 낸 새로, 6척의 키에다 몸과 날개는 오색(五色)의 빛이 찬란하고 오음(五音)의 소리를 내면서
봉황음 / 鳳凰吟 [문학/고전시가]
조선 세종 때 윤회(尹淮)가 지은 별곡체 악장. 「처용가 處容歌」의 가사만 「봉황음」으로 바꾸고 악곡은 「처용가」의 악곡을 그대로 얹어 부를 수 있도록 지은 작품으로 나라와 왕가(王家)에 대한 송축가이다. 가사가 『세종실록』 권146에 악보와 함께 실려 있고, 『악학궤
봉훈랑 / 奉訓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5품 하계 문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5품 상계는 봉직랑(奉直郎), 하계는 봉훈랑으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부 / 傅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1품 관직. 1392년(태조 1) 7월 세자관속(世子官屬)을 설치할 때에는 고려의 제도를 따라 좌사(左師)·우사(右師) 각 1인(정2품)을 두었으나, 그 뒤에 좌사·우사를 사(師)·부(傅)로 고친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따라 부는 좌의정이나 우
부가세 / 附加稅 [경제·산업/경제]
일제강점기 이전 각종 부세를 징수할 때 수세에 필요한 잡비 및 감모(减耗)에 충당하기 위해 원세(元稅)에 덧붙여 거두던 세. 조선 후기의 부세는 크게 전결세·군포·환곡의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었다. 각종 부가세의 징수는 기본적으로 현물납체제가 유지되는 봉건재정 구조에
부강 / 芙江 [지리/인문지리]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지금의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강 상류지역에 있었던 금강 수운의 가항 종점. 수운에 이용되던 하항(河港)이었던 까닭에 충청 내륙지방으로 들어가는 관문적 역할을 하였다. 또한, 황해에서 생산되는 어염(魚鹽)과 일용잡화들이 이곳으로 모여지고 주변에
부강약수 / 芙江藥水 [지리/자연지리]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에 있는 약수터. 부강역에서 1㎞ 지점에 있으며, 철분과 유황이 섞인 탄산수로 피부병은 물론 위장병·눈병 등에 특효가 있다 하여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용출수량은 많으나 성분이 고르지 못하고 철분함유량이 너무 많아 초정약수(椒井藥水)보다는 질
부계 / 缶溪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군위 지역의 옛 지명. 신라 초기의 명칭은 잘 알 수 없고, 757년(경덕왕 16) 부림(缶林)으로 하여 상주 소관의 숭선군(嵩善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초에 지금의 이름인 부계로 고쳤고, 1018년(현종 9) 상주의 속현으로 하였다가 뒤에 선주(善州)의
부계문기 / 涪溪聞記 [문학/한문학]
조선 광해군 때에 김시양(金時讓)이 지은 문견잡록(聞見雜錄). 2권 1책. 1612년(광해군 4) 이후 김시양(金時讓)이 함경북도 종성(鍾城)에서 귀양살이하는 동안 집필한 것으로 부계는 종성의 딴 이름이다.『부계문기』의 수록기사는 총 110칙(則)이다. 광해군의 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