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봉호서원 / 鳳湖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에 있었던 서원. 1693년(숙종 1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윤문거(尹文擧)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윤단(尹搏)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 / 奉化靑巖亭─石泉溪谷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에 있는 명승. 봉화 청암정(靑巖亭)과 석천계곡(石泉溪谷)은 2009년에 명승 제60호로 지정되었다. 이는 유곡리의 청암정과 유곡리에서 삼계리 방향으로 형성된 석천계곡에 해당된다. 청암정은 충재(冲齋) 권벌(權橃, 1478~1548)이 15
봉화군 / 奉化郡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최북단에 위치한 군. 동쪽은 울진군, 서쪽은 영주시, 남쪽은 안동시·영양군, 북쪽은 강원도 영월군·삼척시·태백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8°38′∼129°12′, 북위 36°44′∼37°06′에 위치한다. 면적은 1,201.48㎢이고, 인구는 3만 3808명
봉화군읍지 / 奉化郡邑誌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봉화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여지도서(輿地圖書)』·『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영남읍지(嶺南邑誌)』 등에 수록된 것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
봉화산도당굿 / 烽火山都堂─ [종교·철학/민간신앙]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 소재 봉화산 도당에서 지내는 마을굿. 봉화산 자락에 흩어져 있는 신내동·상봉동·중화동·묵동의 전형적 농촌 마을주민들이 함께 정성을 바쳐 지내는 마을굿이다. 원래는 해를 걸러 도당굿을 했으나, 묵동이 갈라져 나간 후 최근 30여 년간은 신내동·상
봉화산봉수대 / 烽火山烽燧臺 [경제·산업/통신]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회원동에 있는 봉수대. 경상남도기념물 제157호. 무학산 줄기인 해발 265m의 봉화산에 있으며 고려 말에 왜구의 침입을 서울에 알리는 신호수단으로 쌓은 것이라 추정된다. 봉화산 봉수대는 간봉(間峰) 6로로서 처음 부산 다대포봉수대에서 시작하
봉화향교 / 奉化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봉성리에 있는 향교. 조선 세종 때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579년(선조 12)에 현감 조목(趙穆)이 중건하였고, 1925년에 군수 서병린(徐丙麟)이 중수하였다. 1950년에는 향교내에
봉황각 / 鳳凰閣 [종교·철학/천도교]
1901년 목조 기와집으로 만든 천도교의 수도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호. 의창수도원이라고도 한다. 손병희 자신이 1902년부터 7년 동안 이곳에 살면서 천도교의 발전책과 구국운동을 구상하였다. 1919년 3·1운동의 구상도 이곳에서 하였으며, 특히 3·1운동 때
봉황곡 / 鳳凰曲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조선 후기에 창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28구. 『정선조선가곡』·『교주가곡집』 등에 수록되어 있다. 형식은 4·4조가 주축이지만, 3·4조도 등장한다. 내용은 부부간의 금실을 노래한 것으로 3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봉황금 / 鳳凰琴 [문학/고전산문]
명대소설(明代小說) 소지현나삼재합(蘇知縣羅衫再合)을 번안한 소설. 「소운전」·「소학사전」·「월봉산기」·「월봉기」와 같은 계열이다. 이들 번안작품들의 내용과 문체를 비교 검토하여 보면, 작품간의 선후관계가 대체로 드러난다. 이들 중 가장 먼저 이루어진 것이 「소운전」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