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봉장 / 封狀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겉봉투. 겉봉을 봉한 편지를 지칭한다. 간찰은 크게 겁봉에 해당하는 피봉(皮封)과 편지 내용에 해당하는 내폭(內幅)으로 나뉜다. 봉(封)이란 종이로 싼 물건의 덩이를 말하는데, 봉장이란 편지의 내용을 담은 피봉을 말한다.

  • 봉정대부 / 奉正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4품 상계 문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4품 상계는 봉정대부, 하계는 봉렬대부(奉列大夫)로 정하여졌다.

  • 봉조하 / 奉朝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공신·공신적장·동서반 당상관 등이 치사한 뒤에 임명되는 관직. 이 제도는 전직 고급관료를 대우하던 일종의 훈호(勳號)로서 직사는 없다. 다만 정조(正朝)·동지(冬至)·탄일(誕日) 등의 하례식에만 참석하고, 재직시의 품계에 따라 소정의 녹(祿)이 지급되는 은

  • 봉족 / 奉足 [정치·법제/국방]

    조선 초기 국역 편성의 기본 조직으로 정정을 돕게 하던 제도. 국역 부담의 단위로서의 호에는 많은 인정을 가진 큰 호도 있고, 단독으로는 입역이 불가능한 호인 불성호(不成戶)도 있어, 불성호는 3가를 1호로 삼는 것이 통례였다.

  • 봉주 / 鳳州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봉산 지역의 옛 지명. 고구려의 조파의현(租波衣縣)이었는데 뒤에 휴암(鵂巖)으로 고쳤다. 757년(경덕왕 16) 서암군(栖巖郡)으로 바꾸어 한주(漢州)에 예속시켰다. 940년(태조 23) 봉주로 고쳤고, 995년(성종 14) 방어사(防禦使)를 두었으며, 1012

  • 봉지가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지방에 전승되는 창민요(唱民謠). 「봉지가」라 하는 것은 이 민요의 첫 절 첫마디에 “봉지가 진다”라는 말에서 따온 것이며, 봉지란 봉오리의 방언이다. 육지의 옛 민요 가운데도 같은 이름의 민요가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사당패나 잡가(雜歌) 소리꾼들이 불러 널리

  • 봉직랑 / 奉直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5품 상계 문산계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5품 상계는 봉직랑, 하계는 봉훈랑(奉訓郎)으로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봉진느티나무 / 鳳進─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황주군 삼훈리에 있는 느티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170호. 느티나무는 긴동역에서 동쪽으로 약 10㎞ 정도 떨어진 봉진동 마을 어귀의 산기슭아래에 독립수로 있다. 느티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산림밤색 토양이고 메흙이다. 봉진느티나무는 148

  • 봉천느티나무 / 鳳川─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남도 봉천군 신명리에 있는 느티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158호. 느티나무는 봉천읍에서부터 동쪽으로 약 8㎞ 되는 신명리 새장부락의 높은 언덕 위에서 자란다. 언덕의 북쪽과 서쪽 변두리에는 몇 그루의 느티나무와 아까시나무가 자라고 밑은 휴식처로 되

  • 봉헤찌로한인타운 / Bom Retiro [사회/촌락]

    브라질 상파울로의 한인 마을. 2010년 상파울로 市정부가 시조례를 바꾸어 봉헤찌로를 문화특구로 지정하게 된 근본 배경은 2006년 상파울로 주정부의 한국총영사관에 대한 “한국의 문화의 날” 행사 요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인사회에서는 2008년 11월 당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