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봉수 / 烽燧 [경제·산업/통신]

    봉(烽:횃불)과 수(燧:연기)로써 급한 소식을 전하던 전통시대의 통신제도. 높은 산에 올라가서 불을 피워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하였다. 우역제(郵驛制)와 더불어 신식우편(新式郵便)과 전기통신이 창시되기 이전의 전근대국가에서는 가장 중요하고 보편적인 통신방

  • 봉수군 / 烽燧軍 [정치·법제/국방]

    봉수대 위에서 기거하면서 후망과 봉수를 수행하는 요원. 1437년(세종 19) 이후에는 연변연대는 매소의 정원 10여 인이 매번 3인씩 5일마다 교대하다가 다시 10명이 상하 양번으로 10일마다 교대하게 되었다. 그리하여『경국대전』에도 봉수군은 정원 10인으로 규정되었

  • 봉수대 / 烽燧臺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봉수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장소. 조선시대에 있어서는 삼수 갑산으로부터 시작하여 전국의 주요지역 각지에 많은 봉수대가 설치되었고, 별장 22인, 백총 47인, 감관 567인, 무사 2,610인, 합계 3,646인의 봉수군이 구성되었다.

  • 봉안의 / 奉安儀 [정치·법제]

    신주, 혼백, 책보 등을 특정한 장소에 받들어 모시는 의식. 선왕의 상징물이나 유물을 특정한 장소에 받들어 모시는 의식을 봉안의라고 한다. 전례서에 독립된 의주로 실린 봉안의로는 <국조속오례의>에 나오는 "영가지능소봉안의"가 있다. 이것은 상여가 능소에 도달한 후 영

  • 봉암사 / 鳳巖寺 [종교·철학/불교]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 감악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신라시대에 창건하였다가 폐사가 된 감악사 터에 1858년 창헌이 중건하였다. 1950년 6·25 때 완전히 소실되었던 것을 1953년에 학규가 초막 3칸을 지어 복원하였

  • 봉암서원 / 鳳巖書院 [종교·철학/유학]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 봉암리에 있었던 서원. 1651년(효종 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한충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1662년(현종 3) 김장생, 1686년(숙종 12) 송준길, 1721년(경종 1) 송시열을 추가배향하였다. 166

  • 봉양리뽕나무 / 鳳陽里─ [과학/식물]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에 있는 뽕나무. 강원도 기념물 제7호, 높이 약 25m, 가슴높이의 둘레 2.5m, 밑동둘레 3.25m로서 가지는 동쪽으로 11m, 서쪽으로 13m, 남쪽으로 7.7m, 북쪽으로 6.7m 정도로 퍼졌고, 나무의 나이는 약 500년 정도로 추

  • 봉양서원 / 鳳陽書院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남도) 은율군 장연면 동부리에 있는 서원. 1695년(숙종 2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세채(朴世采)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6년(숙종 22)에 ‘봉양(鳳陽)’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 봉어 / 奉御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식국·상약국·상의국·상사국·상승국의 정6품 관직. 정원은 각 1인. 목종 때 있었고, 문종 때 관제정비시 품계와 정원이 정해졌다. 1308년(충선왕 복위)부터 1310년 사이에 상식국·상약국·상의국·상사국·상승국이 각각 사선서·장의서·장복서·사설서·봉거서로

  • 봉업사명 청동북 / 奉業寺銘靑銅金鼓 [예술·체육/공예]

    고려시대의 금고. 보물 제576호.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전(傳) 봉업사지에서 출토되었다. 고려시대 금고로서는 보기 드문 대형(大形)인 것이 특이하며, 또한 금고 표면의 의장 문양도 독특하다.그러나 주조된 상태나 무늬가 복잡, 섬약하여 시대적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