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봉산군 / 鳳山郡 [지리/인문지리]

    황해도의 중앙에서 약간 북부에 위치한 군. 동쪽으로 서흥군, 남동쪽으로 평산군, 남서쪽으로 재령군, 북쪽으로 황주군과 접해 있으며, 북서쪽으로는 재령강을 건너 안악군과 마주하고 있다. 동경 125°39′∼126°04′, 북위 38°15′∼38°37′에 위치하며, 면적

  • 봉산군여지지 / 鳳山郡輿地誌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봉산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2책. 「봉산지도」가 별책으로 부록된 필사본. 내용 구성은 군계(郡界)·건치연혁(建置沿革)·방리(坊里)·도로(道路)·관함(官啣)·신식(新式)·산천(山川)·포구(浦口)·형승(形勝)·풍속(風俗)·물산(

  • 봉산성 / 烽山城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주시 부근에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삼국시대 신라의 제10대 내해왕 당시 축조된 성곽. 『삼국사기』나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미상지분(未詳地分)으로 나와 있다. 봉산성을 영주지방의 지명으로 추측하는 것은 『대동여지도』에 영주 동쪽 10리 지점에 봉산이라

  • 봉산양동리고분군 / 鳳山養洞里古墳群 [역사/선사시대사]

    황해도 봉산군 초와면 양동리 일대에 있는 낙랑고분군(樂浪古墳群). 양동리고분군 전체 가운데 1917년도에 조사된 양동리 제3·5·9호분 등 일부가 알려져 있다. 양동리 3·5호분은 방대형(方臺形) 분구를 가진 전형적인 전실묘이다. 묘실은 장방형 벽돌을 쌓아서 만든 전실

  • 봉산지탑리유적 / 鳳山智塔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황해도 봉산군 문정면 지탑리에 있는 신석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에 이르는 움집터와 포함층 유적. 유적은 재령강의 한 지류인 서흥천변(瑞興川邊)에 위치한다. 1957년지탑리에 있는 대방군(帶方郡) 토성 안의 한 지점(Ⅰ지구)과 이곳에서 남동쪽으로 750m 떨어져 있는 또

  • 봉산학자전 / 鳳山學者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본문은 전하지 않고 그 제목만 『연암별집(燕巖別集)』「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들어 있다. 그러나 작자 스스로 작품 제작의 경위를 밝힌 자서(自序)가 있고, 또 그 끝에 작자의 아들인 종간(宗侃)의 기록이 들어 있어

  • 봉산향교 / 鳳山鄕校 [교육/교육]

    황해도 봉산군(현재의 황해북도 사리원시) 사리원읍 경암리 경암산 기슭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협실·동무(東廡)·서무(西廡)·신문(神門) 등이 있었으며

  • 봉상대부 / 奉常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정4품 문관의 품계. 1308년(충렬왕 34)에 충선왕이 복위하여 직제개편을 할 때 정4품계로 설정한 뒤 중산대부(中散大夫)와 번갈아가면서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 봉상사 / 奉常司 [역사/근대사]

    1895년 제례관리, 악공, 제사, 시의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관원으로는 주임관인 장 1인, 판임관인 주사 3인을 두었는데, 1896년에 칙임관인 제조 5인, 주임관인 부제조 10인을 두고, 1897년에는 도제조 1인을 증원하였다. 개성부와 함경남도에 분

  • 봉상시 / 奉常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가의 제사 및 시호를 의론하여 정하는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여러 번의 직제 개편과 함께 1466년(세조 12) 직제가 크게 개정되었는데, 그것이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당시의 직제는 도제조 1인, 제조 1인, 정(正) 1인, 부정(副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