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복싱 / 복싱 [예술·체육/체육]

    사각의 링 안에서 손으로 상대방의 신체 전면 벨트라인 위쪽을 타격하여 승패를 결정하는 경기. 복싱은 공이나 기구를 이용하는 경기와 달리 몸과 몸이 순간적으로 맞부딪치기 때문에 어느 경기보다 민첩성과 순발력이 동시에 필요한 경기이다.복싱시합 때의 운동량은 1회전 3분을

  • 복위도감 / 復位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폐위된 단종의 왕위를 복위하기 위해 설치한 임시 관서. 1698년(숙종 24) 10월에 설치되었다. 이 때 단종과 왕비의 묘를 능으로 조성하기 위한 봉릉도감(封陵都監)이 병설되었다. 도감은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된 위호를 회복시키고 그 신주를 종묘 영녕전에

  • 복음운동 / 福音運動 [언론·출판/언론/방송]

    동경 복음운동사가 1937년 1월 1일에 국한문으로 내리 편집하여 발행한 월간지. 내용으로는 사설, 논문, 시, 수필, 소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복정 / 卜定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별공이 있을 때 감영 등이 민호를 임의로 정하여 부과하던 불법적인 조세. 공물 가운데 정례적인 공물 이외의 별공이 있을 때 이를 충당하기 위해서 감영 등이 민호를 임의로 정하여 부과하던 폐단의 하나이다. 특히 중앙정부로부터 특정한 산물을 각 관청이나 주, 현

  • 복주산 / 伏主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사내면과 철원군 근남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52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광주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남서쪽에 광덕산(廣德山, 1,046m)·명성산(鳴聲山, 923m), 북동쪽에 대성산(大成山, 1,175m)이 솟아 있다. 남서쪽의 광덕산과의

  • 복천서원 / 福川書院 [교육/교육]

    함경남도 단천군(현재의 단천시) 단천읍에 있었던 서원. 이 서원의 전신은 조선 초기에 창건된 단천향교(端川鄕校)로서, 임진왜란 때 불탄 향교를 1604년(선조 37)에 복원하였는데, 이때부터 공부자(孔夫子)의 영정을 봉안하여 제사를 지내왔다. 1641년(인조 19)에

  • 복합어 / 複合語 [언어/언어/문자]

    두 개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는 둘 이상의 실질형태소가 결합된 것이며, 파생어는 실질형태소에 형식형태소가 결합된 것이다. 복합어와 합성어에 대한 이러한 술어사용의 구분은 문법학자간의 일치를 보여주지 않는다. 어떤 경우는 위와 정반대로 합성어를 상위개념으

  • 복호 / 復戶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국가가 호에 부과하는 요역 부담을 감면하거나 면제해 주던 제도. 대상자에 따라 왕족·권장·진휼·특수인·군호·정역 등 6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수혜 기간에 따라 영년복호와 한년복호로 구분할 수 있다. 본래 복호는 잡역만을 면제하도록 되어 있으나 수령들이 모르

  • 복흥 / 福興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순창지역의 옛 지명. 복흥현의 행정변화는 전해지지 않고 고려 초기에 순창에 병합된 것으로 본다. 복흥의 위치는 순창의 서쪽 50리 지점에 있어 내장산(內藏山)의 동남쪽 사면을 차지하였다. 이 곳에는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인 추월산(秋月山)에서 발원하는 추령

  • 복희팔괘 / 伏羲八卦 [종교·철학/유학]

    만물의 공간적인 변화상을 나타낸 <주역>의 팔괘도. 후천도인 문왕팔괘가 낙서를 근거로 한 것에 비해 복희팔괘는 하도를 근거로 하였다. 복희팔괘와 문왕팔괘는 체용의 관계에 있다. 복희팔괘는 천지의 정체를 나타내고, 문왕팔괘는 천지의 활동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