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보통 / 寶筒 [정치·법제]
보인을 보관하는 통. 왕 또는 왕비의 시호나 존호를 새긴 도장을 보인이라고 하는데 보통은 이러한 보인을 넣어 보관하는 통을 말한다. 보통은 다시 보록에 넣어 두었다. 그리고 보통과 보록은 인주를 넣은 주통, 주록과 짝을 이루어 호갑에 담아 보관하였다.
보통강 / 普通江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평원군 공덕면과 동송면에 있는 강룡산(降龍山, 446m)에서 발원하여 평안남도 서부지역의 중앙을 남류하면서 대동강으로 흘러드는 강. 평원군 북동부에 있는 강룡산(降龍山, 445m)에서 발원하여 남류하다가 현룡저수지(見龍貯水池)로 유입한다. 저수지에 모인 물은
보통강포플라나무 / 普通江─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양특별시 보통강구역 보통강 2동에 있는 포플라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6호. 포플라나무의 우리 명칭은 미루나무이다. 평양체육관과 인민문화궁전사이에서 보통강으로 넘어가는 서성교의 어구에 있다. 미루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보통강의 퇴적작용에 의하여
보통명사 / 普通名詞 [언어/언어/문자]
명사의 한 종류. 명사를 쓰이는 범위에 따라, 단일한 사물에 대해서 적용되는 부류와 여러 사물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두 가지 부류로 나눌때, 앞의 것을 고유명사라 하고 뒤의 것을 보통명사라고 한다. ‘사람·책·학생·가족(家族)·국민·물·불·평화·이상(理想)’ 등은 단
보통학교 / 普通學校 [교육/교육]
1906년 '보통학교령'에 따라 설치된 초등교육기관. 구한말 신학제의 제정에 따라 설치된 소학교를 보통학교로 변경하였다. 을사조약이후 통감부는 각종 법령을 반포하고 우리 나라 교육에 관하여 통제를 가하였다. 종래의 5-6년제 소학교를 4년으로 단축하고, 심상과와 고등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 /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 [언어/언어/문자]
보통학교에서 사용할 교과서 편찬을 위하여 일제가 제정하고 공표한 한글맞춤법. 경술국치 뒤에 우리 나라의 보통학교에서 사용할 교과서를 편찬하기 위하여 조선총독부 학무국에서 위원을 선정하고, 1911년 7월부터 11월까지 5회의 회의를 거쳐 1912년 4월에 확정하여 공표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 /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 [언어/언어/문자]
1921년에 조선총독부가 개정한 한글 맞춤법. 1912년 4월에 확정하여 공표한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 이후에 이 맞춤법에 대한 개정 논의가 일어나서, 학무국에서 다시 위촉한 위원들의 토의를 거쳐 1921년 3월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를 공
보평청 / 報平廳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부터 조선 초기까지 국가의 정사를 처결하는 장소. 고려 전기에는 주로 건덕전(乾德殿)에서 정사를 의논하였는데 공민왕 대부터 보평청에서 중요 사안을 처결하는 것으로 기록에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국왕은 1달에 두 번 참석하였으나 관리들은 매일 교대로 출근하여 국
보포 / 保布 [경제·산업/경제]
조선 시대 한량품관 이하 국역 복무자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비복무자로 보를 설치하여 거둔세금. 보법에 따라 보인은 정규군의 경비를 보조, 방군수포의 일반화와 군역의 군포화라는 추세에 따라 보인의 부담도 포로써 수납하게 하면서 이를 보포라 하였다. 1594년(선조 2
보학 / 譜學 [사회/가족]
족보 그 자체를 연구하는 학문. 보학은 우리의 전통사회구조와 성격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절대로 소외될 수 없는 분야라고 하겠다. 전통사회, 특히 족보가 크게 발전하였던 조선시대에는 가문배경에 관한 요건이 사회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다른 어떤 것과도 대체나 상쇄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