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보창군 / 保昌軍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북계에 두었던 주진군. 초군·좌군·우군과 함께 북계 주진군의 핵심을 이루었다. 경군의 보승군, 동계 주진군의 영새군 등과 마찬가지로 보병 부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사≫ 병지의 기록에 의하면 서경(평양)에는 보창잡군이라 하여 19대가 두어졌고, 그 밖에
보천교 / 普天敎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 교단 중의 하나. 1911년 차경석(車京石)이 전북 정읍군 입암면 대흥리에서 창립하였다. 1936년 차경석이 죽자 신파와 구파로 분열되었다. 신파와 구파의 쟁점은 교조의 추대 문제로, 신파는 차경석을 교조로 하고 구파는 증산을 교조로 한다.
보천군 / 補天軍 [정치·법제/국방]
고려 전기의 군사 조직. 936년(태조 19) 경상북도 구미지방에서 후백제와의 마지막 일전으로 벌였던 일리천전투의 기록에서 단 한번 나타난다. 이 때 보군 1만으로 조직되었으며, 마군 1만과 함께 우강을 구성하였다. 이와 함께 보천군대장군이라는 무관직도 확인된다. 이
보천보전투 / 普天堡戰鬪 [정치·법제/북한]
1937년 6월 4일 항일유격대가 함경남도 갑산군 보천면 보천보(현재 북한의 행정구역상 양강도 보천군 보천읍)를 습격하여 승리했다는 전투. 북한의 주장에 따르면, 이 전투는 1937년 3월 서강회의에서 조선인민혁명군(동북항일연군)이 국내진공작전을 펴기로 결정함에 따라
보천탄즉사 / 寶泉灘卽事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로. 그의 문집인 『점필재집』을 비롯하여 여러 시선집에 모두 실려 전하는 그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이다. 작품은 “도화 뜬 물결이 몇 자나 높았길래/흔석도 물에 잠겨 찾을 길 없네/쌍쌍이 나는 물새는 옛집을 잃고/고기 물
보철유문 / 補綴遺聞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안정복(安鼎福)이 지은 독서잡기. 1책. 필사본. 『보철유문』은 어떤 일정한 체계나 순서가 전혀 없이 이것저것 잡다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대략 물명(物名)·고악부(古樂府)·잡설(雜說)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물명은 여러 가지 사물이나 동·식물의
보청천 / 報靑川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보은군 내북면과 회북면의 경계에 있는 구룡산 부근에서 발원하여 보은군과 옥천군 지역을 남류하여 금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69.3㎞. 금강 상류지역에 있는 지류로 보은군 내북면과 회북면 경계에 있는 구룡산(九龍山) 부근에서 발원한다. 장수에서 발원한 금강은
보초등록 / 報草謄綠 [지리/인문지리]
1794년과 1795년까지 제주도에서 진상하는 말의 내역을 기록한 등록. 책의 내용은 첫째, 건륭(乾隆) 59년인 1794년(정조 18) 5월에 평년(平年)에 진상하는 말의 내역을 적은 것 둘째, 건륭 60년인 1795년(정조 19) 5월에 3년의 식년(式年)마다 한
보충법 / 補充法 [언어/언어/문자]
어형의 규칙적인 변화틀에 어긋나고 어원적으도로 관련없는 형태의 문법적 교체. 보충법이란 어형의 규칙적인 변화틀에 어긋나고 어원적으로도 관련이 없는 형태로써 체계의 빈칸을 채우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불규칙성은 체언과 용언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체언의 보충법으로
보탑 / 寶塔 [예술·체육/공예]
불구류에 속하는 공예 소탑들을 가리키는 불교용어.공예탑. 삼국시대 이래의 유적이나 석탑들 속에서 흙이나 돌로 만든 소형탑들이 발견되며, 가끔 금속제의 공예탑 조각들이 발견되는 예도 있으나, 현재까지 완형품이 발견된 예는 드물다. 고려시대에 이르면 완형의 형식을 갖춘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