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보살춤 / 菩薩춤 [예술·체육/무용]

    보현보살(普賢菩薩)의 형상화를 통해 동양 불교예술에 표현된 조형적인 여성의 미를 그린 최승희 안무의 대표작품. 「보살춤」은 한자리에 머물러 추는 것이 특징인 춤으로, 불상의 이미지에서 얻은 정서적 영감과 감성적 환영을 정중동(靜中動)이 돋보이는 춤으로 승화시킨 작품이다

  • 보상당초문 / 寶相唐草文 [예술·체육/공예]

    보상꽃과 당초 덩굴로 나타낸 장식 무늬. 당초 무늬는 건축·공예·조각·회화 등의 조형미술 전반에 광범위하게 쓰인 장식 의장(裝飾意匠)으로, 인류가 수렵과 유목생활에서 목축·농경 생활을 시작하던 때부터 나타난 무늬로 알려져 있다.당초라는 말은 일본 헤이안문학(平安文學)

  • 보상무 / 寶相舞 [예술·체육/무용]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창사(唱詞)는 1828년(순종 28) 『진작의궤』 부편(附編)에 전하며, 1829년 2월의 진찬(進饌)에서는 악장이 없는 여령정재(女伶呈才)로 추어졌으며 그 해 6월의 진찬에서는 보상반(寶相盤)이라 하여 익종(翼宗) 예

  • 보상화문 / 寶相華文 [예술·체육/공예]

    반쪽의 팔메트(palmette)잎을 좌우대칭시켜 심엽(心葉)형으로 나타낸 장식무늬. 보상화무늬가 양식적으로 성립한 것은 7세기 전후 사산·페르시아에서였고, 우리나라와 일본에 전해졌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에 보상화무늬가 성행하였다. 좌우대칭으로 완성된 팔메트

  • 보성 전일리 팽나무 숲 / 寶城 全日里─ [과학/식물]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전일리에 있는 팽나무의 줄나무. 전라남도 기념물 제114호. 전일리의 팽나무 줄나무는 마을 앞에 한줄로 기다랗게 서있다. 전체길이 155m되는 둑에 팽나무 18그루, 느티나무 한그루가 서 있고 나무의 높이는 9∼15m 사이에 있으며 나무의 나이는

  • 보성강 / 寶城江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보성군 웅치면의 일림산(日林山, 627m)과 사자산(獅子山, 666m)에서 발원하여 보성읍을 지나 보성강 저수지와 주암호를 이루어 섬진강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120㎞. 유역면적 1,309.7㎢. 보성군에서 발원하여 보성읍을 지나며 화강이 되고, 노동면 광곡

  • 보성강수력발전소 / 寶城江水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의 섬진강 지류인 보성강에 있는 수력발전소. 1931년 양정간척회사에서 남해안 득량면에 간척지 용수공급용 방조제를 축조하였고, 1935년 12월 일본의 보성흥업(寶城興業)에서 이를 인수하여 1936년 1월 시설용량 3,120㎾의 유역변경식 발전소를

  • 보성군 / 寶城郡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남부의 중앙에 위치한 군. 동쪽은 순천시, 서쪽은 화순군·장흥군, 남쪽은 득량만과 고흥군, 북쪽은 화순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58'∼127°29', 북위 34°38'∼34°59'에 위치한다. 면적은 663.53㎢이고, 인구는 4만 5349명(2015년

  • 보성군읍지 / 寶城郡邑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보성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읍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全羅南道寶城郡邑誌(전라남도보성군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호남읍지』에 수록된 것이 있다. 내용 구성은 방

  • 보성금평패총 / 寶城金坪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척령리 금평마을 어귀의 구릉 북사면에 있는 원삼국시대의 조개더미(패총). 1992년목포∼순천간 고속화도로 공사과정에서 발견되어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되었다. 조사된 유구는 5기의 주거지가 있다. 이 주거지가 폐기된 후 그 위에 조개더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