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남길 / 南佶 [종교·철학/유학]

    1594년(선조 27)∼1654년(효종 5). 조선 중기 학자. 조부는 남의록이다. 부친은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이 알려진 난고 남경훈과 모친 이준의 딸 재령이씨 사이에서 3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남동생 남정‧남숙이 있다. 1624년(인조 2) 부친을 위해 영덕

  • 남노명 / 南老明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21(경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길, 아버지는 상주. 1675년(숙종 1) 사마양시에 합격하고, 1684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뒤 내직으로는 병조·예조좌랑을 거쳐 기사관을 지냈다. 외직으로 거창현감을 지낼 때는 기근

  • 남도진 / 南道振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문신. 조선조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11세손이다. 일찍부터 저술에 전념하였으며 또한 예학저술에 힘쓰는 한편, 우집경(禹執卿)에게서 탄금법을 배우고, 안진경(顔眞卿)·유종원(柳宗元)의 서법을 공부하였다. 또한 시조와 가사를 짓고 자연을 완상하며 담담한 한거

  • 남상교 / 南尙敎 [문학/한문학]

    1784(정조 8)∼1866년(고종 3).조선 후기의 문신·문인·종교인. 아버지는 남이우(南履佑)이며, 어머니는 이기풍(李基豊)의 딸 이씨(李氏)이다. 5대조인 남익훈(南益熏)이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함경도 관찰사 등을 역임한 이후로 고조부인 남기명(南紀明)은 평택

  • 남연년 / 南延年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두명이다. 1676년(숙종 2)에 무과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1727에 청주영장이 되어 토포사를 겸하였다. 이듬해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난을 진압하던 중, 청주성이 함락되면서 절도사 이봉상과 함께

  • 남옥 / 南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2∼1770). 과거에 급제한 뒤 수안군수 등을 지냈으나 최익남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형을 당해 죽었다. 1763년에 계미 통신사에 서기로 임명되어 일본에 다녀왔다. 저서로《일관시초》·《일관기》외에 다수가 있다.

  • 남용만 / 南龍萬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9∼1784). 사마시에 합격한 뒤 과거에 뜻을 버리고 오직 학문에 전념하여《대학장구난의》를 저술하였다. 조정에서 여러 관직을 제수하였으나 거절하였으며 후진양성에 힘썼다. 문집으로 <활산선생문집>이 있다.

  • 남용익 / 南龍翼 [종교·철학/유학]

    1628(인조 6)∼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복시 증손, 할아버지는 진, 아버지는 부사 득명, 어머니는 신복일의 딸이다. 1648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성균관전적, 병조좌랑, 홍문관부수찬, 형조참의, 양주목사, 대사간, 대사성, 공조참

  • 남유용 / 南有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8∼1773). 이재의 문인이다. 1740년(영조 16) 알성문과 병과급제 후 원손사부·지중추부사·형조판서·정헌 등을 지냈다.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다.《명사정강》을 편찬, 《천의리편》·《뇌연집》등을 저술하였다.

  • 남은 / 南誾 [종교·철학/유학]

    1354(공민왕 3)∼1398(태조 7).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할아버지는 천로, 아버지는 을번, 어머니는 최강의 딸이다. 형은 영의정 재, 아우는 우상절도사 지. 삼척지군사, 밀직부사, 지문하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심효생

페이지 / 3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