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구암집 / 龜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김충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2책. 목활자본. 1814년(순조 14) 후손 우원(禹元)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익운(李益運)·홍의호(洪義浩)의 서와 권말에 한교응(韓敎應)·김우원(金禹元)의 발이 있다. 규장각
구암집 / 龜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원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0년에 간행한 시문집. 16권 8책. 목활자본. 1820년(순조 20) 문인 현익수(玄翊洙)·지약수(池若洙)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수에 김이교(金履喬)의 서문과 권말에 유성주(兪星柱)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구암집 / 龜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성익의 시·잡저·만사·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1책 90장. 목판본. 그의 친구 권상하(權尙夏)와 아들 대령(大齡)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고 하는데,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시 2백여 수, 소 1편, 서(書)
구암집 / 龜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제학의 시·기·행장·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4책. 필사본. 권두에는 아우 제성(濟性)의 서문이 있으나, 편찬·간행경위는 미상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서언(敍言), 권2에 기 3편, 서(序) 5편, 제문 1편, 권3에 송(頌) 1편,
구애문집 / 龜厓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조극승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3책. 목판본. 1898년 그의 아들인 병수(秉秀)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김흥락(金興洛) 등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구애집 / 龜厓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0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조카 이인보(李仁溥)가 초간본을 간행(1830년대 말)하였고, 70여년 뒤인 1909년에 그의 종5세손 이면주(李冕宙)가 중간하였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와 고려대학
구약전서 / 舊約全書 [종교·철학/개신교]
기독교의 경전. 현재 사용하는 구약은 전체 39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약은 율법서, 역사서, 예언서, 시가서, 지혜서, 묵시문학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외에 개신교에서는 외경이라 하여 경전에서 제외시키고 있다. 이들 제2경전은 토비트, 유딧, 지혜서, 집회서, 바
구역인왕경구결 / 舊譯仁王經口訣 [언어/언어/문자]
고려시대의 구결자료. 원래 이 불상은 1346년에 조성된 것으로, 이 구결은 그 이전에 쓰여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구결이 쓰여진 ≪구역인왕경≫은 상하 2권이나 상권의 2·3·11·14·15장의 5매만이 발견되었다. 이 불경은 목판본으로 그 자체(字體)는 고려대장경
구와문집 / 龜窩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6년에 간행한 시문집. 1846년(헌종 12)에 간행되었다. 서문과 발문이 없고, 편자 미상이다. 본집 14권 7책, 부록·속집 9권 4책, 합 23권 11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고려대학교 도
구완식증시문서 / 具完植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증규장각제학 구완식(具完植)에게 '무숙(武肅)'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문서. 1910년 8월 25일 순종은 43명의 벼슬을 추증하였다. 이때 구완식에게는 일찍이 호위한 공로가 있으므로 특별히 정2품 규장각 제학에 추증하고 시호를 내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