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구운몽 / 九雲夢 [언론·출판]

    저자 김만중(1637-1692). 필사본. 4권 4책. 표지의 제첨에는 '구운몽'이라는 제목과 권수가 적혀 있다. 이 책은 한문본 <구운몽>을 국역한 이본이다. <구운몽>은 총16회로 되어 있는 장회체소설이다. 하지만 한문본을 직접 번역한 것은 아니며, 표기법에서 나타

  • 구원정문집 / 九元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유학자 이형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909년 그의 5대손인 대현(岱鉉)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만규(李晩煃)의 서문과 권말에 이창연(李昌淵)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 구원집 / 九畹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이춘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56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656년(효종 7) 그의 제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경여(李敬輿)·정두경(鄭斗卿)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권1∼3에 시 417수,

  • 구은유고 / 龜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변진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8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68년 현손 석균(石均)이 편집, 간행하였으며, 이동식(李東軾)의 서문과 후손 호종(鎬宗)의 발문이 있다.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만사 121수, 애사 2편,

  • 구음유집 / 舅陰逾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양시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1권 1책. 석인본. 『어은집(漁隱集)』과 합편되어 있다. 1911년 그의 후손인 석장(錫漳)·석구(錫球)·석윤(錫胤)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아들 여매(汝梅)의 서문이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 구음재 / 龜陰齋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에 있는 조선전기 무신 윤선 관련 주택.시도유형문화재.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4호. 조선 중기의 무신 윤선(尹銑)의 연보에 ‘신종황제만력원년계유 독서경어소요당(神宗皇帝萬曆元年癸酉 讀書經於逍遙堂)’이라고 기록된 것으로 보아 1573년(선조 6)경

  • 구음집 / 龜陰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안기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간행한 시문집. 1910년 안기원의 아들 안종성(安鍾性)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말에 조정규(趙貞奎)와 안종성의 발문이 있다. 5권 2책. 목판본. 충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권

  • 구음집 / 龜陰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광수의 시·서(書)·제문·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경위가 자세하지 않다.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각에 있다. 권1∼3에는 시 222수, 서(書) 17편, 잡저 3편, 제문 21편, 권4에는 가장(家狀)으로 행록

  • 구이당유집 / 具邇堂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하달영과 그의 아들 하현의 시·제문·만사·행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1책. 신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 간행된 경위나 연도는 알 수 없다. 장서각 도서와 진주하씨 종손가에 있다. 권1은 『구이당유집』으로 시 7수, 행장 1편, 장계(狀啓)

  • 구인후 / 具仁垕 [종교·철학/유학]

    1578(선조 11)∼1658(효종 9). 조선 중기의 무신. 증조는 능성군 구순, 할아버지는 좌찬성 구사맹, 아버지는 대사성 구성, 어머니는 별좌 정억령의 딸이다. 뒤에 구홍에게 입양되었다. 인조의 외종형이다. 김장생의 문인이다. 선전관, 고원군수, 갑산부사, 비변사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