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보령교성리유적 / 保寧校成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교성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후기의 집터[住居址]유적. 986년과 1987년에 걸쳐 국립부여박물관과 공주박물관이 합동으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두 9기의 집터가 해발 188m되는 산 정상부를 중심으로 부채꼴을 이루고 있었다. 앞벽이 터진 평면 U

  • 보령남포벼루제작 / 保寧藍浦─製作 [예술·체육/공예]

    문방사우의 하나인 벼루를 만드는 일 및 그 기능을 가진 장인.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6호. 우리 나라에서 벼루의 재료로 쓰이는 석연재(石硯材)는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데 특히 무산·평양·장산곶·정선·평창·장단·단양·안동·경주·언양·강진과 계룡산 등이 대표적인 산지로

  • 보령시 / 保寧市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시. 동쪽은 청양군·부여군과 접하고 서쪽은 서해에 면하며, 남쪽은 서천군, 북쪽은 홍성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5°57′∼ 1267°44′, 북위 36°10′∼ 36°31′에 위치한다. 면적은 569.31㎢이고, 인구는 10만 4754명(2

  • 보령읍지 / 保寧邑誌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보령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901년에 편찬한 지방지.읍지. 1책. 필사본.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형승(形勝)·성지(城池)·관직(官職)·산천(山川)·성씨(姓氏)·

  • 보령죽도해저유물매장해역 / 保寧竹島海底遺物埋藏海域 [예술·체육/공예]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에 있는 고려후기 상감청자·백자대접 등의 해저유물.청자매장해역. 사적. 사적 제321호. 지정면적 7.07㎢. 1987년 6월 1일에서 30일까지 한 달간에 걸쳐 탐사 및 발굴이 이루어졌다. 상감청자(象嵌靑磁) 40여 점과 백자대접 30점을 비롯하

  • 보령항 / 保寧港 [경제·산업/교통]

    충청남도 보령시에 있는 항구. 1983년 8월에 한국전력공사에서 운영하는 발전소에 소요되는 연료용 유연탄 수송을 위해 건설한 항구이다. 보령항은 개항 당시 고정항으로 명명되었다가 1995년 12월 29일에 항계를 확장하고 명칭을 보령항으로 개칭하였다. 안벽이 472m,

  • 보령향교 / 保寧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에 있는 향교. 1723년(경종 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중등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868·1964·1967년에 각각 중수하였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정면 5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을

  • 보령화력발전소 / 保寧火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오포리에 위치한 화력발전소. 국내 최대 면적의 화력발전소로서 유연탄과 중유를 각각 전소할 수 있는 50만㎾급 기력발전설비 2기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에는 고정화력발전소(高亭火力發電所)로 불렸으나 1984년 4월부터 현재의 보령화력발전소로 개칭되었

  • 보리밥 [생활/식생활]

    쌀에 보리를 섞어 짓거나 보리만으로 지은 밥. 보리는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설화에 나타나고 있고, ≪삼국사기≫ 신라본기에는 보리가 풍년이 들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백제의 군창지에서도 보리가 출토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삼국시대에 이미 서민들의 중요한 주식이었음을 추측할

  • 보리밥나무 / Longleaf Elaeagnus [과학/식물]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관목 또는 덩굴나무. 보리밥나무는 보리수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관목으로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황해도 이남의 바다 주변 산지에서 자라며, 서해안은 대청도, 동해안은 울릉도까지 분포한다. 사람 키 높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