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보길도 / 甫吉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에 속하는 섬. 완도에서 서남쪽으로 23.3㎞ 떨어져 있고, 노화도 남서쪽 1.1㎞ 지점에 있다. 동경 126°37′, 북위 34°06′에 위치한다. 면적은 32.99㎢, 해안선 길이는 41.0㎞이다. 2007년 말 현재 인구는 2,799명(남 1
보덕 / 輔德 [정치·법제/법제·행정]
세자시강원의 종3품직. 태조(太祖) 1년에 ‘세자관속’을 설치할 때 고려의 제(制)에 따라 서연관직에는 각기 좌·우 2원을 두게 되었던 것이나, 예종(睿宗) 1년에 처음으로『경국대전』이 마련되었을 때에는 모두 1원으로 감축되어 좌·우의 칭호는 없어진 것이다.
보덕사 / 報德寺 [종교·철학/불교]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서원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이다. 본래 옥양봉 남쪽 기슭에 있던 가야사를 승계하여 1871년에 창건하였다. 1951년 2월에는 비구니 수옥이 중창하였고, 1962년에는 비구니 종현이 증축하였다. 현존하는
보도연맹사건 / 輔導聯盟事件 [역사/현대사]
6.25전쟁 초기, 국민보도연맹원에 대한 예비검속, 즉결처분을 단행한 사건. 국민보도연맹은 1949년 10월 좌익 전향자들을 중심으로 만든 조직으로서, 좌익세력에 대한 통제와 회유를 목적으로 했다. 1949년말까지 이 조직에 가입된 수는 무려 30만 명에 달했으며, 서
보도지침 / 報道指針 [사회/사회구조]
제5공화국시기 문화공보부 홍보정책실에서 언론사 기사통제를 위해 작성한 가이드라인. 전두환 정부는 효과적인 언론 통제를 위해 문화공보부 내에 홍보조정실의 상설기구를 설치했다. 계엄 해제 후 정부의 대언론 창구를 문화공보부로 일원화하고, 언론협조체제 구축을 통해 언론조정체
보디빌딩 / 보디빌딩 [예술·체육/체육]
중량의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신체의 골격과 근육을 발달시키는 신체운동. 체중의 많고 적음에 따라 체급을 나누고 그 체급별로 근육의 모양과 크기, 균형 발달 정도와 대칭 여부, 피부색깔, 그리고 골격과 자세 등을 심사하여 등위 를 결정한다. 보디빌딩은 예로부터 있어 왔지만
보라매공원 / ─公園 [예술·체육/체육]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에 있는 대규모의 공원. 면적은 41만 8㎡(12만 4,000평)이며, 건물부지 15만 4,578㎡에 25동의 건물이 들어서 있다. 잔디광장 16만 1,819㎡, 녹지 2,813㎡, 연못 5만 9,500㎡의 규모로서 독서실 5동(棟), 청소년수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 保寧 外煙島 常綠樹林 [과학/식물]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에 있는 상록수림. 천연기념물 제136호. 면적 32,727㎡. 상록수림은 마을 뒷면의 능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앙에 서낭당이 있다. 이 상록수림 외곽의 식생은 크게 황폐되어 있으나 이 숲은 원상에 가깝게 보존되고 있는 것은 서낭당이 있
보령관산리유적 / 保寧館山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관산리의 청동기시대 및 고려·조선시대의 움집자리[竪穴住居址]와 분묘 유적. 유적은 관산리를 감싸고 있는 배재산의 동서방향 지구릉(枝丘陵)에 입지하여, 구릉 중앙부 해발고도 약 45m 부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완만한 사면에 분포하고 있다. 돌널무덤은
보령관창리유적 / 保寧寬倉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보령시 주교면 관창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집자리[住居址]와 고분 유적. 서해안과 인접한 해발 100m 내외의 산에서 뻗어 내린 능선의 높이 약 35m 이하 지역에 있다. 이 유적은 (주)대우의 관창공단 조성과 관련해 1995년 1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