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보거주 / 保擧主 [사회/사회구조]

    조선시대 과거응시자들의 신분보증인. 과거응시자들 중에서 사조 이내에 현관이 없는 자는 녹명시에 반드시 보단자를 첨부하게 하였는데 이는 신분이 미천하거나 애매한 자들의 응시를 예방하기 위한 조처였다. 또 여기에는 과거에 관한 제반규정의 준수나 과장에서의 농간을 예방하기

  • 보건운동 / 保健運動 [예술·체육/체육]

    1932년 보건운동사에서 보건·위생에 관한 과학적 연구와 보건·위생 사상의 보급 등을 목적으로 창간한 잡지.보건전문월간지. 1932년 2월 1일 양봉근(楊奉根)이 편집 및 발행을 맡아 보건운동사(保健運動社)에서 창간하였다. 보건·위생에 관한 과학적 연구와 보건·위생 사

  • 보검 / 寶劍 [정치·법제]

    왕이 사용하는 병기의 하나. 보검은 <국조오례의>「군례서례」병기도설에 수록되어 있는 것에서 알수 있듯이 운검과 함께 왕이 사용하는 병기이다. 왕의 검은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운검으로, 칼집은 어피로 싸고 주홍으로 칠한 후 백은으로 장식하여 홍색 끈목을 달아 말위로

  • 보격구 / 步擊毬 [예술·체육/체육]

    말을 타지 않고 걸어다니면서 공을쳐 승부를 내는 경기. 말을 타고 행하는 격구방식을 간편화하여 걸어다니면서 공을 쳐서 정해진 구멍에 들어가게 하는 공치기 경기이다. 고려시대에 말을 타고 행한 격구의 방식이 조선시대에 와서 말을 타지 않고 보행하면서 행하는 놀이로 변형되

  • 보경사의탱자나무 / 寶鏡寺─ [과학/식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중산리에 있는 탱자나무. 경상북도 기념물 제11호. 보경사 경내에 있는 두 그루의 탱자나무로 그 중 한 그루는 건물 동편 흙돌담에 인접하여 있고 또 한 그루는 건물 서편 끝의 빈터 한복판에 서 있다. 흙돌담에 인접하여 있는 나무는 높이가 약

  • 보계 / 洑契 [사회/촌락]

    논벼 재배지역에서 수리시설의 하나인 보(洑)를 수축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향촌사회성원들이 자발적으로 구성한 자치조직. 보계에는 임원과 규칙이 있으며, 정기적·비정기적인 집회를 가진다. 지방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임원으로는 계장 혹은 보도감(洑都監), 보감고 혹은 물감고·

  • 보공장군 / 保功將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3품 하계 무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가 제정될 때 정하여졌다. 이러한 종3품관에게는 1438년에 정비된 녹과에 의거하여 실직에 따라 일년에 네 차례에 걸쳐 모두 중미 10석, 조미(매갈아서 만든 쌀) 27

  • 보교 / 步轎 [생활/주생활]

    조선시대 관리들이 타던 가마의 하나. 정자지붕 비슷하게 가운데가 솟고, 네 귀는 튀어나왔으며, 바닥은 소의 생가죽으로 가로세로로 엮어서 만든 가마. 네 기둥을 세워 사면으로 휘장을 둘렀고, 뚜껑은 쇠가죽을 깔았으며, 2개의 나무 막대기 위에 얹어 고정시켰는데, 바닥과

  • 보국숭록대부 / 輔國崇祿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1품 하계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 7월 문산계·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정1품 상계는 특진보국숭록대부, 정1품 하계는 보국숭록대부로 정하여졌다.

  • 보궐 / 補闕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 중서문하성의 관직. 목종 때 이미 내사문하성의 관속으로 좌보궐과 우보궐이 두어져 있었으며, 문종관제에서는 정원이 좌·우 각1인, 품계는 정6품이었다. 예종 때 사간으로 고쳐졌다가 뒤에 다시 보간으로 개칭되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이 즉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