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변시섬 / 邊始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3∼?). 증조부는 변유체, 조부는 변국빈, 부친 변익보, 외조부는 김추한이다. 29세 때 1801년(순조 1) 신유 식년시 을과 4위로 합격하였다. 벼슬은 지평에 이르렀다. 성품이 청렴결백하였고, 효성과 우애가 깊었으며, 근검절약하는 것으로
변신설화 [문학/구비문학]
변신을 주된 내용으로 삼은 설화. 변신설화에 나타난 변신양상의 유형을 살펴보면 ① 인간변신형, ② 동물변신형, ③ 식물변신형, ④ 정령변신형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흔히 이류교구형(異類交媾型)이라 부르는 설화도 이류의 인간화라는 점에서 변신설화에 포함될 수 있다. 한
변씨열행 / 卞氏烈行 [문학/고전산문]
작자 미상의 신소설. 국문필사본. 1906년에 필사된 단편소설집 『오옥기담(五玉奇談)』에 실린 작품 중의 하나이다. 귀녀(鬼女)와 도사(道士)의 싸움을 바탕으로 하여 변씨의 열행(烈行)을 그린 소설이다. 이 작품은 도선사상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왕생이
변어 / 邊語 [사회/사회구조]
상거래에서 방주와 거간 사이에 주고받던 물건값의 은어. 변어라고 하게 된 것은 한자의 부변(部邊)을 응용한 데서 나왔기 때문이다. 서울의 시전과 장시에서는 가게 주인인 방주와 거간인 여리군(餘利軍)이 생산자나 다른 상인과 흥정을 할 때 그들만 아는 변어를 사용하여 매매
변정록 / 辯訂錄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가류(儒家類) 이병헌(李炳憲) 편, 신연활자본, 불분권 1책(15장). 공자 학설 등 유교에 대해 변정한 책이다.
변정사 / 邊政司 [역사/근대사]
1880년 12월에 설치된 변방에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통리기무아문 산하관서. 변방에 관한 사무를 비롯하여 이웃 나라의 동정을 정탐하는 업무를 맡아보았으며 종전의 이웃 나라와의 일을 주관하였다.
변중선 / 邊衆船 [종교·철학/원불교]
항일기의 독립운동가·교육자(1903∼1980).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중국 상해로 건너가 상해 동제대학에서 산부인과를 전공했다. 대학 재학시절부터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상해 한인청년회장, 해외한인청년총동맹 중앙집행위원장,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국무위원 등을 역임했
변중일 / 邊中一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1660(현종 1). 조선 중기의 학자. 경장의 아들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가 의주로 몽진하자 김성일이 초유사가 되어 의병을 모집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는 화왕성으로 달려가 박수춘·성안의·남사명·유복기·정사성 등과
변하진특증문서 / 卞河璡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전 중추원의관 변하진(卞河璡)을 정3품 통정대부 규장각부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1899년 1월 2일《고종실록》에는 전사과 심상희가 올린 상소가 있다. 이후 1910년 7월 18일 순종은 조령을 내려 83명을 특증하였다. 이때 고 6품 변하진
변호사 / 辯護士 [정치·법제/법제·행정]
법률에 규정된 자격을 갖고 타인을 변론하는 법조인. 법률에 규정된 자격을 갖고 소송 당사자나 관계인의 의뢰나 법원의 명령에 따라서 피고나 원고를 변론하는 등의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