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변려문 / 騈儷文 [문학/한문학]

    한문문체의 하나. 변려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대구를 존중했다. 이것은 한문에 흔히 있는 일이다. 그렇지만 변려문에는 특별히 대구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둘째는 넉 자 또는 여섯 자의 구(句)를 많이 쓴다. 한문에는 원래 넉 자·여섯 자로 된 구가 많다. 그렇지

  • 변무사 / 辨誣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왕실이나 국가의 중요사실이 중국에 잘못 알려질 경우 이를 해명 또는 정정하기 위하여 보내는 특별사절 또는 그 사신. 왕실이나 국가의 중요사실이 중국조정에 잘못 전해졌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어 문제가 야기되었을 때 이를 해명하고 그 정정을 요구하기 위해 파견되었

  • 변무주 / 辨誣奏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정구(李廷龜)가 지은 글. 『월사집 月沙集』 권21의 「무술변무록」에 정문(呈文) 4편과 함께 실려 있다. 이정구가 35세 되던 1598년(선조 31)에 지은 총 3,309자로 된 장문이다. 정응태가 조선이 왜적과 제휴하여 중국을 침범하려고 한다고 중국

  • 변박 / 卞璞 [예술·체육/회화]

    생졸년 미상. 조선 후기의 화가. 자는 탁지(琢之), 호는 술재(述齋) 또는 형재(荊齋), 본관은 초계(草溪)이다. 동래부 소속의 화원이었다. 1763년(영조 39) 통신사행의 기선장(騎船將)으로 일본에 건너가 대마도지도와 일본지도 및 풍물을 모사하여 돌아왔다. 유작으

  • 변봉현 / 邊鳳現 [예술·체육/체육]

    일제강점기 조선체육회 창립준비위원을 역임한 체육인. 평안북도 박천 출생. 와세다 대학(早稻田大學) 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학 재학시절에 야구선수로 활약하였으며, 1909년 7월 제1차 유학생야구단이 모국을 방문할 때 선수단원으로 귀국하여 평양·개성·선천·안악·철산 등

  • 변산반도 / 邊山半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서남부 황해안에 돌출한 반도. 반도의 남서부에는 월명사(月明寺)ㆍ개암사(開巖寺)와 쌍선봉(雙仙峰)ㆍ보안봉(保安峰)ㆍ갑남봉(甲南峰) 등이 있어 우리나라 팔경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반도의 동부에는 호남 지방의 곡창 지대를 이루는 넓은 평야가 있다. 반도의 대부분

  • 변산반도국립공원 / 邊山半島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부안군의 변산반도일대에 지정된 국립공원. 변산반도국립공원은 동경 126°37′40″∼126°44′20″, 북위 34°21′40″∼34°47′20″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원면적은 157㎢이다. 변산구릉을 중심으로 1971년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는데 1988년 6

  • 변산일엽 / 邊山一葉 [과학/식물]

    꼬리고사리과 꼬리고사리속에 속하는 상록 다년초. 전라북도 부안의 변산반도와 경상북도의 울릉도, 강원도의 대성산에서 자라며, 제주도에서는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를 비롯하여 고지대의 일부 계곡에서 자생하고 있는 희귀식물이다.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 변산팔경 / 邊山八景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부안군변산반도 주변의 여덟 군데의 경승지. 1경은 곰소앞 웅연강에서 낚시하는 낚시꾼의 풍치를 일컫는 웅연조대(熊淵釣臺), 2경은 직소폭포의 장관과 밑으로 이어지는 제2·제3폭포와 옥녀담 계곡의 아름다운 선경. 3경은 내소사(來蘇寺)의 은은한 저녁 종소리와 울창

  • 변산해수욕장 / 邊山海水浴場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에 있는 해수욕장. 변산반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부안에서 격포로 이어지는 30번 국도를 이용하여 23㎞ 지점, 부안읍에서 남서쪽으로 6㎞ 지점에 있다. 1933년에 개장한 변산해수욕장은 최근 변산비키니 해수욕장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곳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