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벽오동 / 碧梧桐 [과학/식물]

    벽오동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높이 15m, 직경 40㎝에 이르며, 나무껍질은 벽색으로 특이하다. 잎이 오동나무의 잎과 같게 생겼으나 나무껍질이 초록색으로 다르다 하여 벽오동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현재 중부 이남의 각 지역에 많이 식재되어 있으나 원래는 하와이·중국

  • 벽온신방 / 辟瘟新方 [언론·출판/출판]

    1653년(효종 4)에 안경창이 편찬한 온역의 치료에 관한 의서. 1권 1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와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1653년 봄에 황해도에 여역(癘疫)이 크게 유행하였을 때 왕명을 받아 어의 안경창이 편찬하였다. 이 책은 『벽온방』에서

  • 벽위편 / 闢衛編 [종교·철학/천주교]

    천주교를 배척하는 자료들을 모아서 편찬한 책. 18세기 말엽에서 19세기 중엽까지 천주교 전래와 박해, 천주교가 조선사회에 준 충격과 반응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책이름은 사도(邪道)를 물리치고 정도(正道)를 지킨다는 의미를 지닌 벽사위정(闢邪衛正)의 준말에서 왔다.

  • 벽진 / 碧珍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성주 지역의 옛 지명. 6가야의 하나인 성산가야(星山加耶) 또는 벽진가야(碧珍加耶)에 속하였는데, 신라가 정벌하여 본피현(本彼縣)으로 바꾸었다. 경덕왕 때 신안현(新安縣)으로 고쳐 성산군(星山郡)의 영현으로 하였다가 뒤에 벽진군으로 바꾸었으며, 고려 태조 때

  • 벽진서원 / 碧津書院 [교육/교육]

    광주광역시 광산구 벽진동에 있는 서원. 1604년(선조 3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광옥(朴光玉)의 덕행과 절의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78년에 김덕령(金德齡)을 추가 배향하는 동시에 중수하였으며, 1681년(숙종 7) ‘의열사(義烈祠)’라고 사액

  • 벽파진 / 碧波津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벽파리에 있었던 나루터. 고려 때에는 대진(大津)이라고 불리었다. 진도군에 속하는 여러 섬들 중에서 본도인 진도(珍島)의 동부 해안가에 위치하여 진도로 들어가기 위한 관문의 역할을 하였다. 진도는 국방상 중요지역의 하나였는데, 특히 일본과 중국을

  • 벽허담관제언록 / 碧虛談關帝言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승상 하유가 11남매를 혼인시키는 과정과 혼인 후에 전개되는 가정의 갈등과 음모를 다룬, 전형적인 가문소설이다. 여기에는 수많은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이들은 대체로 두 개의 대조적인 계층으로 나뉠 수 있다. 첫째 계층

  • 변 / 辨 [문학/한문학]

    한문 문체의 하나. 변은 ‘판별한다’의 뜻으로, 시비를 가려서 참되고 거짓됨을 판별하는 목적으로 쓰여진 글이다. 변은 형식이나 체제가 ‘난(難)’과 비슷한데, 다만 변은 혐의를 주로 따져 밝히고, 난은 힐책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같은 변이란 명제하에 썼다 하여도 『

  • 변경취락 / 邊境聚落 [지리/인문지리]

    인접 국가와의 접경지대 또는 새롭게 개척되는 곳에 형성된 취락. 변경 취락은 지역적 개념이 강하며 특히 국토의 핵심적 지역에 대하여 경제적·문화적으로 그 주변의 저개발된 취락을 의미하기도 한다. 변경 취락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국방상의 요충지에 주로 형성되었으며,

  • 변계량 / 卞季良 [종교·철학/유학]

    1369(공민왕 18)∼1430(세종 12). 조선 전기의 문신. 주 증손, 할아버지는 원, 아버지는 옥란이다. 어머니는 조석의 딸이다. 이색·권근의 문인이다. 예문관응교, 수문전제학, 의정부참찬, 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춘정집≫ 3권 5책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