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홍언국 / 洪彦國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아버지는 홍귀달, 형은 홍언충이다. 1495년(연산군 1) 을묘 증광시 생원 2등 20위로 합격하였다. 1506년 중종반정으로 석방되어 고향에서 학문 연구와 후진의 양성에 전념하였다. 후에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사임하였다. 명필로 이름이 있었으며, 작품으로

  • 홍언방 / 洪彦邦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문신. 증조는 홍득우, 조부는 홍효손이다. 부친 홍귀달과 모친 김숙정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은 홍언충이다. 1502년(연산군 8) 알성시 문과에서 3등 1위로 급제하였다. 홍문관박사, 언양현감을 역임하였다.

  • 홍언충 / 洪彦忠 [종교·철학/유학]

    1473(성종 4)∼1508(중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득우의 증손, 할아버지는 효손, 아버지는 귀달, 어머니는 김숙정의 딸이다. 1495년(연산군 1) 사마시에 합격, 그 해에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부정자. 정자·저작·박사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 홍여하 / 洪汝河 [종교·철학/유학]

    1621(광해군 13)∼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경삼의 증손, 할아버지는 덕록, 아버지는 호, 어머니는 고종후의 딸이다. 1654년(효종 5) 진사로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문관에 들어가 검열이 되고 이어 대교·봉교, 정언을 역임하였다. 1689년

  • 홍연전 / 洪延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한글필사본. 현재 알려진 두 이본 중 하나인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나손문고본(舊 金東旭 소장본)은 서투른 글씨체로 된 단권 44장짜리이다. 이 작품은 중국·어버이·남성의 문제를 한국·자식·여성의 힘으로 해결하는 독특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 홍영선전 / 洪靈仙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필사본. 이 소설은 일반적인 영웅소설의 유형을 띠고 있는 작품이다.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나손문고(舊 金東旭 소장본)에 유일본으로 있다.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명나라 홍무연간 형주땅에 사는 명환 홍석주(洪錫周)는 늦

  • 홍영식 / 洪英植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문신(1855∼1884). 우정국총판이 되어 우정국 개국 잔치 때 박영효·김옥균 등 친일세력과 함께 갑신정변을 일으켜 사대당을 제거한 후 신정부인 개화당을 조직했다. 그러나 신정부는 청나라의 개입으로 삼일 만에 무너지고 대역죄로 처형 당했다.

  • 홍용조 / 洪龍祚 [종교·철학/유학]

    1686(숙종 12)∼1741(영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부 증손, 할아버지는 성원, 아버지는 숙, 어머니는 이사익의 딸이다. 1717년(숙종 4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주서와 설서를 거쳐, 동부승지, 병조참지, 충청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1741년

  • 홍우건 / 洪祐健 [종교·철학/유학]

    1811∼1866.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홍낙최, 조부는 홍인모이다. 부친 홍길주와 모친 어재황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유우의 딸이다. 1836년(헌종 2) 정시에서 병과로 문과 급제하였다. 성균관대사성, 예문관제학,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 홍우길 / 洪祐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9∼1890). 1850년(철종 1) 증광문과에 장원 급제, 정언·지평·사간을 거쳐 대사성이 되었다. 이후 이조참의·예방승지를 지내고, 경상도관찰사·이조참판·형조판서·대호군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었다. 저서로《연탄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