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강복선 / 姜復善 [종교·철학/유학]
1852(철종 3)∼1891(고종 28) 아버지는 강응주, 어머니는 청주 한씨이다. 유시수를 스승으로 섬겼다. 유시수의 문인 중에 이항로에게 수학했던 홍대심이라는 자가 있어 그와 사우관계를 맺었다. 이익의 문집을 교정하는 일에 참여 요청을 받은 적이 있으나, 끝내 성사
강복성 / 康復誠 [종교·철학/유학]
1550(명종 5)∼1634(인조 12). 조선 중기의 문신. 강중진의 증손, 아버지는 강유선이다. 1579년(선조 12) 사마시에 합격한 뒤, 참봉·직장·찰방 등을 역임하였다. 1595년유성룡의 천거로 장현광 등과 함께 발탁되어 장수현감이 되었으며, 곧 김제군수로 옮
강봉문 / 姜鳳文 [종교·철학/유학]
1735년(영조 11)∼1815년(헌종 14). 아버지는 강득위이다.유홍원에게서 배웠다. 가문은 비록 한미했지만, 효자로 이름이 높았고, 학문에 힘을 쏟아 그를 따르는 문인이 100여인에 이를 정도로 많았다고 한다. 저서로《옥계유고》가 있다.《옥계유고》는 1829년(순
강서원일록 / 講書院日錄 [종교·철학/유학]
1759년 8월 9일부터 1761년 7월 5일까지 강서원에서 박성원이 정조의 세손시절 교육과정을 기록한 일지.관청일기. 『강서원일록(講書院日錄)』은 강서원에서 진강을 주관하였던 좌익선(左翊善) 박성원(朴聖源)이 정조의 세손시절 교육과정을 기록한 관청일기로, 현재 한국학
강석규 / 姜錫圭 [종교·철학/유학]
1628년(인조 6)~1695년(숙종 21). 조선 중기 문신. 고조는 강극성, 증조는 강종경, 조부는 강진휘이다. 부친 강덕후의 4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외조부는 송문길, 처부는 이군미, 숙부는 청백리 강유후이다. 동생으로 강석복‧강석명‧강석구가 있다. 1660년
강석기 / 姜碩期 [종교·철학/유학]
1580(선조 13)∼1643(인조 21). 조선 후기의 문신. 강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현령 강유경, 아버지는 이조참의 강찬, 어머니는 첨지중추부사 김은휘의 딸이다. 김장생의 제자로 1616년(광해군 8)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대사간, 대사성, 도승지, 이조판
강석빈 / 姜碩賓 [종교·철학/유학]
1631(인조 9)∼1691(숙종 17). 조선 후기의 문신. 우의정 강사상 현손, 할아버지는 강홍중, 아버지는 목사 강욱, 어머니는 이창원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충청도암행어사, 이조좌랑, 경기도수군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강세구 / 姜世龜 [종교·철학/유학]
1632(인조 10)∼1703(숙종 29). 조선 후기의 문신. 대사헌 강첨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학년, 아버지는 강원도관찰사 강호, 어머니는 윤지경의 딸이다. 1676년(숙종 2) 강릉참봉에 기용, 1678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정자, 정언, 수찬, 호조
강세규 / 姜世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62∼1833). 승문원을 거쳐 공조정랑·예조좌랑·감찰·경상도도사·지평·정언·기주관 등을 역임하였다. 책문에서 군포·조곡·전부 등의 조세 방안이 공정하고 현실적이길 논하였다. 저서로는《긍암집》이 전한다.
강세륜 / 姜世綸 [종교·철학/유학]
1761년(영조 37)∼1842년(헌종 8).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증조는 강석번, 조부는 강박, 부친은 강필악이다. 외조부는 이재후이다. 1783년(정조 7) 증광시 병과 17위로 문과에 급제한 후, 장령·시독관·승지·종성부사·사간원대사간·병조참판 등을 역임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