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 문무 관인 총 6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문무 관인
강복중 / 姜復中 [문학/고전시가]
1563년(명종 18)∼1639년(인조 17).조선 중기의 문신. 고조부는 중화재(中和齋)강응정(姜應貞)이며, 아버지는 광흥창봉사강령(姜齡)이다. 학문은 그다지 깊지 않았으나 여러 편의 시조 작품을 남겼다. 시조 작품인 「수월정청흥가(水月亭淸興歌)」 21수에는 청계망사
강원영 / 姜元永 [과학기술/의약학]
생몰년 미상. 대한제국시대의 의관. 1899년 7월 대한의학교에 입학하여 1902년 7월에 졸업하고, 1904년 11월에 의학교 교관으로 있으면서 유행병 예방 임시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그뒤 1907년 육군 3등 군의관에 임명되었다.
강응환 / 姜膺煥 [문학/고전시가]
1735년(영조 11)∼1795년(정조 19).조선 후기의 무신. 강희맹(姜希孟)의 9세손으로 전라도 무송[茂松 : 지금의 고창(高敞)]에서 태어났다. 경과정시(慶科庭試)에 합격하여, 부장(部長)·사헌부감찰·칠원현감(漆原縣監)·초계군수(草溪郡守)·대구영장(大丘營將)·고
구강 / 具康 [문학/고전시가]
1757년(영조 33)∼1832년(순조 32).조선 후기의 문신·시인. 아버지는 장악원첨정(掌樂院僉正)구윤빈(具允斌)이며, 어머니는 부사과(副司果)신긍구(申肯構)의 딸이고, 부인은 청송 심씨(靑松沈氏)이다. 1795년(정조 19)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798년(
김광찬 / 金光燦 [정치·법제/법제·행정]
1597(선조 30)∼1668(현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아버지는 부사 상관(尙寬)이며, 작은아버지인 좌의정 상헌(尙憲)의 양자로 들어갔다. 광해군 때는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있다가 1627년(인조 5)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음서(蔭敍)로
김상후 / 金商厚 [역사/근대사]
1870-미상. 일제강점기 무신·항일운동가. 자는 용여(用汝)이고, 호는 금호(錦湖)이다. 본관은 김녕(金寧)이다. 절충장군(折衝將軍) 첨지중추부사 호군오위장(僉知中樞府事護軍五衛將)과 무주적성산참봉(茂朱赤城山參奉) 등을 역임하였다. 1919년 4월 1일 광양군(光陽郡
김선필 / 金善弼 [역사/조선시대사]
1807년(순조 7)∼1883년(고종 20). 조선 말기의 무신. 아버지는 학기이다. 1829년(순조 29) 무과에 급제, 전라도·충청도의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1871년 신미양요 때 강화수로의 중요한 근거지인 광성진을 방어하다 미국군의 공격을 받아 장렬하게 전사
남도진 / 南道振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문신. 조선조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11세손이다. 일찍부터 저술에 전념하였으며 또한 예학저술에 힘쓰는 한편, 우집경(禹執卿)에게서 탄금법을 배우고, 안진경(顔眞卿)·유종원(柳宗元)의 서법을 공부하였다. 또한 시조와 가사를 짓고 자연을 완상하며 담담한 한거
남상교 / 南尙敎 [문학/한문학]
1784(정조 8)∼1866년(고종 3).조선 후기의 문신·문인·종교인. 아버지는 남이우(南履佑)이며, 어머니는 이기풍(李基豊)의 딸 이씨(李氏)이다. 5대조인 남익훈(南益熏)이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함경도 관찰사 등을 역임한 이후로 고조부인 남기명(南紀明)은 평택
민승호 / 閔升鎬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의 외척(1830-1874). 명성황후(明成皇后)의 오빠. 여동생이 왕비로 책봉되자 중용되어 이조참의·호조참판·형조판서·병조판서에 올랐다. 민씨세력의 수령으로서 명성황후의 배후인물로 남모르게 활동하며 흥선대원군 축출공작을 폈다. 대원군이 실각하자 국정전반에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