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총 54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 傳光州聖居寺址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광주광역시 남구 성거사터에 있는 고려시대 5층 석조 불탑.보물. 보물 제109호. 높이 7m. 석탑은 광주공원 안의 빛고을시민문화관 서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주변은 성거사터로 알려져 있다. 석탑은 거북 머리처럼 튀어나온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는데, 단층 받침돌 위에 5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傳)楊平菩提寺址大鏡大師塔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승려 대경대사 여엄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승탑. 보물. 보물 제351호. 높이 2.7m. 신라 말, 고려 초에 활동하였던 대경대사 여엄(麗嚴, 862∼930)의 사리를 모신 승탑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이화여자대학
가락국기 / 駕洛國記 [역사/고대사]
고려전기 문종 연간에 가락국에 대하여 저술한 역사서. 완전한 내용은 전하지 않으며, 『삼국유사』 기이편(紀異篇)에 간략하게 초록하여 전하고 있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가락국기」의 주에는 정확한 저자의 이름이 나와 있지 않으며, 다만 금관주지사(金官州知事) 문인(文人
가안지곡 / 嘉安之曲 [예술·체육/국악]
고려시대 제례의식에서 연주된 아악곡. 왕이 친히 원구단(圜丘壇)에 참석하여 제사를 지내는 동안 전폐(奠幣) 및 작헌(酌獻)의 의식을 거행할 때 등가(登歌)에 의하여 연주되었다. 인안지곡(仁安之曲)이나 숙안지곡(肅安之曲)과 같은 대려궁(大呂宮)의 악곡이다.
각대 / 角帶 [생활/의생활]
백관이 관복(官服)에 두르던 띠. 착용자의 신분과 계급에 따라 차별을 두었다. 관원이 공복 등에 띠를 두르던 것은 신라시대에 이미 제도화되었고, 고려에서는 계급에 따라 구분하여 제도화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더욱 발달되어 계급에 따라 장식이 다양해졌다. 조선 말기 각대를
각루원 / 刻漏院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물시계의 관측을 맡아보던 관청. 931년(태조 5) 서경에 낭관과 아관을 두고 병부(兵部)·납화부(納貨府)·진각성(珍閣省)·내천부(內泉府) 등과 함께 설치되었다.
각화사귀부 / 覺華寺龜趺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각화사에 있는 고려전기 거북 모양 비석 받침돌.귀부. 시도유형문화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9호. 장방형의 지대석(地臺石)과 귀부가 하나의 석재로 조성되었다. 지대석의 전면 양 모서리는 모를 죽여 사선형을 이루고 있다. 귀부는 앞과 뒤에 각각
간의대부 / 諫議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정4품 관직. 목종 때에 좌우간의대부가 있었으나, 문종 때 관제가 정비됨에 따라 인원은 좌우 각각 1인씩을 두었다. 1116년(예종 11)에 조서를 내려 좌우사의대부로 명칭을 바꾸었다.
간정성유식론단과 / 刊定成唯識論單科 [종교·철학/불교]
고려전기 승려 의천이 『성유식론』의 과문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원래 3권이었으나 현재는 서문만 전한다. 해인사에서 간행된 목판본 서문에 따르면,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과 『성유식론(成唯識論)』의 두 논서는 각각 성종(性宗)과 상종(相宗)의 대표적 논서이지만 뜻
감나무 [과학/식물]
감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喬木). 우리나라에서 감나무 재배의 역사는 고려시대인 1138년(인종 16)에 ‘고욤’에 대한 기록이 있고, 1470년(성종 1)에도 건시·수정시(水正枾)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조선시대 초기의 진상물에 감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