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

본 연구는 첫째, 국내 기관에 소장된 민사판결문을 수집, 정리, 분류하여 민사판결문과 관계된 주요 정보를 DB화한다. 이를 위해 기록관리학 방법론에 입각하여 소송 당사자, 직업, 연령, 판결서 내용, 사건 관계자, 판사, 서기 등 판결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목록 기술요소를 확정함으로써, 검색의 편의성을 제고하였다. 둘째,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이 일반 연구자들도 독해하기가 쉽지 않은 국한문 및 일본어 초서체로 작성된 사례가 많아서, 학계의 활용도가 극히 낮은 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판결문 전부를 탈초, 정서 및 입력하고 현대문으로 번역하여, 가독성을 제고하고 효율적인 검색 및 서비스를 위한 풀 텍스트(full text)화 작업을 수행한다. 셋째, 연구결과물이 관련 학계 및 법원, 일반인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 목록집(1권)』,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1~10권)』 등으로 출판한다.

공동연구진 더보기 +

연구책임자 : 이승일(강릉원주대학교)
공동연구원 : 문준영(부산대학교)
공동연구원 : 방광석(고려대학교)
공동연구원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공동연구원 : 양진석(서울대학교)
공동연구원 : 조국(서울대학교)
공동연구원 : 박완(강릉원주대학교)
전임연구원 : 이명종(강릉원주대학교)
전임연구원 : 전병무(강릉원주대학교)

연구개요 더보기 +

각 판결문에 대해 각각 22개 항목의 데이터를 조사하고 엑셀을 이용하여 목록으로 정리
각 판결문의 원문 전부를 탈초, 정서 및 입력하고 현대문으로 번역하는 연구를 수행

연구요약 더보기 +

본 연구는 근대 한국인의 생활과 사회 그리고 법문화의 변화상을 잘 보여주는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 가운데 1908년 3월부터 1909년 12월까지의 민사판결문 3,541건을 DB로 구축하고 번역·출간함으로써 한국근대사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