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묵재일기에는 양반 남성의 일기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의 세밀한 일상이 묘사되어 있어, 유학자들의 일기에서는 맛볼 수 없는 생활사를 체험할 수 있다. 이 일기의 국역을 통해 이해하기 쉬운 텍스트를 제공함으로써 문화콘텐츠 구축을 위한 기초가 될 것이다.

자료 보기

전체 6,780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 ○당(堂)에 머물렀다
    1566년 9월 6일 계사. ○당(堂)에 머물렀다. ○판관이 햇잣 5말을 보냈다. ○어제 경산(慶山) 현감도 잣 3말을 보냈다. ○이즙(李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566년 9월 7일 갑오. ○당(堂)에 머물렀다. ○동쪽 둔답(屯畓)의 벼를 베어서 말렸다. ○성주 관속이 관찰사에게서 돌아왔는데, 관찰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566년 9월 8일 을미. ○당(堂)에 머물렀다. ○필이(必伊)가 서울에서 돌아왔는데, 물린 납채(納采)를 권(權) 참군(參軍) 댁에 맡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566년 9월 9일 병신. ○당(堂)에 머물렀다. 재계했다. ○재상어사(災傷御史) 하응임(河應臨)이 성주(星州)에서 묵고 진휼해 줄 물목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조상의 신위(神位)에 제사를 지냈고 죽은 아들과 딸을 배식(配食) 했다
    1566년 9월 10일 정유. ○○○조상의 신위(神位)에 제사를 지냈고 죽은 아들과 딸을 배식(配食) 했다. ○이득중(李得中)‧이대성(李大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566년 9월 11일 무술. ○당(堂)에 머물렀다. ○사창(司倉)에서 어사(御使)가 보낸 쌀‧콩‧보리[牟] 등을 받아왔다. ○함안(咸安)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566년 9월 12일 기해. ○당(堂)에 머물렀다. ○판관이 소고기‧천엽(千葉)‧창자[腸子] 등의 식품을 주었다.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566년 9월 13일 경자. ○당(堂)에 머물렀다.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566년 9월 14일 신축. ○당(堂)에 머물렀다. ○강(姜) 관찰사가 성주(星州)에 들어와 인출하여 장정한 《주자연보(朱子年譜)》‧《전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566년 9월 15일 임인. ○당(堂)에 머물렀다. ○승(僧) 행호(幸浩)가 와서 산 포도를 주었다. ○보명(普明)이 배 20개를 보냈다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페이지 / 67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