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비창” 에 대한 검색결과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구휼을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내용] 충선왕 때 재정개혁책(財政改革策)의 일환으로 설치되었으며, 관원으로는 종5품의 사를 비롯하여 부사(종6품)ㆍ승(丞, 종7품)ㆍ주부(종8품) 등이 두어졌다. 과렴(科斂)과 비슷한 성...
  • 보흥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은 원나라와 고려를 오가며 더욱 사치와 향락에 빠졌으며, 그 비용을 마련코자 1339년(충숙왕 복위 8) 보흥고(寶興庫)를 설치하였다. 이듬해 충혜왕이 복위하자 1343년 ()을 보흥고에 병합하여 그 기구를 확대하고, 모리와 수탈로써 많은 민전(民田)을 불...
  • 배정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받고 백금을 받았다. 뒤에 충청‧전라 양도 찰방이 되어 지방의 관기를 바로잡고 외로운 사람들을 위로하였다. 충선왕(忠宣王) 때 호군(護軍)이 되었으며, 사농시(司農寺)와 ()의 일을 관장하였다. 1318년(충숙왕 5)에 대호군으로서 탐라존...
    이칭별칭 서한(瑞漢)| 금헌(琴軒)
  • 연호미(煙戶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호미 연호미 煙戶米 연호(煙戶), (), 둔전연호미법(屯田煙戶米法) 정치군사·국방 개념용어 대한민국 고려~조선초기 김종수 [정의] 진휼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연호(煙戶)마다
    관련어연호(煙戶), 유비창(有備倉), 둔전연호미법(屯田煙戶米法)
  • TD_E4_S_0133 高麗賑政 정책-제도 發倉, 糶糴, 黑倉, 義倉, 米穀, , 煙戶米, 鉏粟, 屋粟, 間粟, 箕歛, 社倉, 官粟, 元粟, 雀鼠耗, 官耗, 租稅 國初 句麗, 國初, 大悲院, 濟危舗 故國川王, 成宗, 忠宣, 朱子, 百里 ...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4권 1장 4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2)

  • 49552 B049552 덕진 德津 군사교통 京畿道邑誌 江華府志 江華府志卷上 內帑 ... 小東門內. 西倉 在官廳西 留守朴權直. 南倉 在府南城內 留守朴權直 今屬修城所. 在濟物鎭下 留守申厚載置 ○以上各倉 軍餉所儲春糶秋糴 舊有玉浦倉 甲串倉 德津倉 井浦倉 今廢撤.
    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858 B002858 갑곶 甲串 군사교통 京畿道邑誌 江華府志 江華府志卷上 內帑 諸庫 名目煩不枚列 只存大都云.司倉 在貳衙南. 戶曹倉 在小東門內. 西倉 在官廳西 留守朴權直. 南倉 在府南城內 留守朴權直 今屬修城所. 在濟物鎭下 留守申厚載置 ○以上各倉 軍餉所儲春糶秋糴
    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0072 B050072 덕진진 德津鎭 군사교통 江都志 _ _ 倉庫 ... 七石]. [二梗在濟物鎭, 庚午建, 米三千八百四十石, 太一千七百九十石]. 玉倉[五梗卽古之衣浦倉在 玉浦, 米八千十石, 太一千二百七十七石]. 德倉[三梗在德津鎭, 米一千二百九十七石, 太二百五十石...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0088 B050088 덕창 德倉 정치행정 江都志 _ _ 倉庫 ... 102]濟物鎭, 米七千二百七十二石, 太一千五百三十七石]. [二梗在濟物鎭, 庚午建, 米三千八百四十石, 太一千七百九十石]. 玉倉[五梗卽古之衣浦倉在玉浦, 米八千十石, 太一千二百七十七石]. 德倉[三...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0092 B050092 덕창 德倉 정치행정 輿地圖書 江都府誌 江華 倉庫 ... 守權爀改建西庫 增註)西倉(在官廳西越一岡戊子留守朴權營建 增註)南倉(在府南城內古禁衛營戊子留守朴權創建 增註)甲倉(在濟物鎭下)(在甲倉西二去庚午新建丁酉及戊辰再修上庫庚申改建下庫 增註)玉倉(在長...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구휼을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충선왕 때 재정개혁책의 일환으로 설치되었으며, 관원으로는 종5품의 사를 비롯하여 부사(종6품)·승(丞, 종7품)·주부(종8품) 등이 두어졌다. 그리고 1343년(충혜왕 복위 4)에는 충혜왕의 사고인 보흥고(寶興庫)에 병합되면

  • 보흥고 / 寶興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충혜왕이 사사로이 설치한 재정기관. 1339년(충숙왕 복위 8) 보흥고를 설치하였다. 이듬해 충혜왕이 복위하자 1343년 ()을 보흥고에 병합하여 그 기구를 확대하고, 모리와 수탈로써 많은 민전(民田)을 불법으로 귀속시켰다. 이를 기화로 중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