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묘” 에 대한 검색결과 78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70)

사전(324)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묘제(廟制) 부태묘(祔太廟) 의(儀) 문화의례/흉례 의식 행사 대한민국 조선시대 태종~순종 정승모 태종 길제(吉祭) 때 예조 종묘
    상위어묘제(廟制) | 동의어부태묘(祔太廟) | 관련어부묘의(祔廟儀)
  • 도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이나 후비 등의 상사(喪事)에 있어서 혼전을 두고 3년의 상기를 마친 뒤 신주를 종묘로 모실 때의 의식과 절차를 관장하게 할 목적으로 설치된 관청
    정의왕이나 후비 등의 상사(喪事)에 있어서 혼전을 두고 3년의 상기를 마친 뒤 신주를 종묘로 모실 때의 의식과 절차를 관장하게 할 목적으로 설치된 관청 | 문광부표기Bumyo Dogam | MR표기Pumyo To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에서 삼년상이 끝난 후에 혼전의 신주를 종묘에 배치함
    정의왕실에서 삼년상이 끝난 후에 혼전의 신주를 종묘에 배치함 | 문광부표기Bumyoje | MR표기Pumyo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도감(都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감 도감 都監 권설아문(權設衙門) 부궁도감(祔宮都監), 복위도감(復位都監), 주감(主監) 종묘(宗廟), 도제조(都提調), 제조(提調), 예조(禮曹), 호조(戶曹), 병조(兵曹), 공조(工曹), 수리소(修理所)...
    상위어권설아문(權設衙門) | 동의어부궁도감(祔宮都監), 복위부묘도감(復位祔廟都監), 부묘주감(祔廟主監) | 관련어종묘(宗廟), 도제조(都提調), 제조(提調), 예조(禮曹), 호조(戶曹), 병조(兵曹), 공조(工曹), 수리소(修理所), 위판조성소(位版造成所)
  • 도감의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개설] 조선시대에 왕이나 후비(后妃) 등의 상사(喪事)에 있어서 혼전(魂殿)을 두고 3년의 상기를 마친 뒤 신주(神主)를 종묘(宗廟)로 모실 때의 의식과 절차를 기록한 책. 현재 규장각에 32종의 도감의궤가 보존되어 있다. [내용] 내용별로...

단행본(2)

  • 영조 비빈 자료집 1-의궤, 등록, 기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정해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8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貞聖王后國恤儀軌》 《貞純王后國恤謄錄》 《貞純王后都監儀軌》 《弘陵志》 《弘陵寢郞先生案》 《弘陵祭器年限冊》 《孝安殿日記》
  • 숙종대왕 자료집 1 - 의궤, 등록, 일기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정만조, 이근호, 최진덕...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4.10.30
    분야생활 | 유형단행본
    山陵都監儀軌一冊 山陵都監儀軌二冊 練祥橝謄錄 都監都廳儀軌 明陵日記 탈초 庚子年國恤草日記 해제 숙

논문(1)

고서·고문서(413)

  • 告辭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sl_00166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四 喪禮_大祥 告辭 告辭 이익(李瀷, 1681~1763) 答秉休問目 DRAC_4:1:13:13Q 《備要》“告辭”中: “禮當祔於曾祖考者, 果與卒哭明日之告, 重復無緊.” 今依改正 正: 《예설유편...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등록(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효종 2년인 1651년 7월 7일에 거행된 인조와 인렬왕후 장씨의 (), 현종 2년인 1661년 7월 8일에 거행된 효종의 , 현종 10년인 1669년 10월 1일에 거행된 태조의 두 번째 비 신덕왕후 강씨의 , 숙종 2년인 1676년 4월 9일에 거행...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亦可朝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st_00117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三 喪禮_朝祖 亦可朝 亦可朝 이익(李瀷, 1681~1763) 答秉休 DRAC_3:1:15:1A 昔人有問於旅軒云: “禰廟在家, 祖廟在隣, 朝祖將何以爲之?” 答: “朝於隣廟.” 不記全文, 大槪如此....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정조도감의궤(正祖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802년(순조 2) 6월부터 8월까지 정조(正祖, 1752~1800)의 신주를 혼전(魂殿)인 효원전(孝元殿)에서 종묘(宗廟)에 ()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정조는 조선의 제22대 왕으로 장헌세자(莊獻世子, 사도세자, 후에 장조로 추존)의 아들이며, 어머...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철종도감의궤(哲宗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다가오자 왕실에서는 철종의 위패를 혼전(魂殿)이던 효문전(孝文殿, 昌德宮 宣政殿)에서 종묘로 옮기기 위해 도감(都監)을 설치하여 제반 행사를 준비, 거행하게 하였다. 본 의궤는 바로 당시 행사를 주관하였던 도감에서 기록한 책이다. 도감에서는 종묘에 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구술자료(1)

  • 군원대 () 전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야기가 너무 간단하게 끝나자 조사자가 좀 길게 해달라고 했다. 그러자 이인규씨가 시작한 것이다. *
    조사일시1981-05-01 | 조사장소충청남도 아산군 온양 | 제보자이인규

기초학문(10)

  • 1802년(純祖 2) 正祖의 와《正祖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상태, 게재일 : 2005
    01975 김상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802년(純祖 2) 正祖의 와《正祖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1866년(高宗 3) 哲宗의 와 《哲宗大王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종준, 게재일 : 2005
    02342 김종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866년(高宗 3) 哲宗의 와 《哲宗大王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1661년(顯宗 2) 孝宗의 와《孝宗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상태, 게재일 : 2005
    12039 김상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661년(顯宗 2) 孝宗의 와《孝宗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규장각 소장 都監儀軌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상태, 게재일 : 2005
    11859 김상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규장각 소장 都監儀軌 고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1880년(高宗 17) 哲仁王后의 와《哲仁王后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상태, 게재일 : 2005
    08778 김상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880년(高宗 17) 哲仁王后의 와《哲仁王后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1)

  • 習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명헌후분묘도감의례식졀 초도습의를 작일상오십이시에 부안에셔거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2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本人先瑩與伯在楊州唐山地△從姪前書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先瑩與伯在楊州唐山地△從姪前書記生경進祖妣墓亦在其局內也本人父行四人三位已爲作故惟本人家親生存惟願四兄弟同歸一局致票身後之地於경進祖妣山右邊而경進則寓居魯城地丁其祖憂而本人家親恨其兄弟各素△勸遺葬於先瑩경進荏冉未就至於今春莎草時경進忽間其爲誰置票恨不葬其祖於該地本人答以親敎之如右渠若以好言...
    게재일1901년 5월 11일 | 기사분류광고
  • 문학예술연구_1980_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정열의 시인 진지한 탐구 전국권 17 세사와 그 중요한 의의 서일권 24 <판소리>음악 개황 리황훈 ...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0
  • 문학예술연구_1980_0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정열의 시인 진지한 탐구 전국권 17 세사와 그 중요한 의의 서일권 24 <판소리>음악 개황 리황훈 ...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0
  • 純宗の御儀 128 詩壇 松田學鷗 選 131 自銀集 巨明撰 133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8

기타자료(8)

  • 져 넣었다. 관정 이외의 출토유물은 없다. 다음 3ㆍ4호묘는 대형급으로 바닥에 회갈색점질토를 깔았으며 목관 상부에는 황갈색점질토를 채웠다. 앞쪽에는 참배단을 마련하였고 동장벽에 감실을 마련하여 청동합과 청동숟가락, 철제 가위 등을 부장하였다. 1호와 2호묘는 부일...
    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부산지방국토관리청 | 발굴지역경상남도
  •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아마도 부로 추정된다. 3호 토광묘는 240x100cm 크기의 광을 만들고 210x60cm의 관을 놓았다. 2호 석곽의 아래쪽에서 노지와 아궁이로 보이는 유구가 나왔다. 아궁이는 할석으로 만들어졌는데, 평면 장타원형의 형태이다. 암반풍화토...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서울대학교박물관/서울대학교인문학연구소/(주)고려개발 | 발굴지역충청남도
  • 천안 두정동유적-A지구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4㎡ 정도이다. 묘광의 깊이는 36~222cm 내외로 유구간 편차가 크다. 토광묘는 대부분 목관을 사용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대부분의 묘광에서 관정이 발견되었고, 일에서는 목관이 양호한 상태로 드러난 예도 있다. 목관은 관정을 이용해 연결한 것도 있고, 나비장을 이...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한국고고환경연구소(舊고려대학교고고환경연구소&舊고려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천안시 경영개발사업소 | 발굴지역충청남도
  • 진주 소곡리 유적 – 진주~통영간 고속도로 제21공구내 소곡리유적 발굴조사 –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된다. 따라서 4호와 5호묘는 부가 아닌 친연관계에 있는 묘일 가능성이 높다. 유구의 선후관계는 알 수 없지만 거의 시기차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8호와 9호는 이미 봉분이 유실된 상태였으나 1m 정도 간격을 두고 묘광을 굴착했던 점, 그리고 묘광과 목관 사이가 비...
    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발굴지역경상남도
  • 묘광이 파괴하는 형으로 조영되는, 중복된 분묘형이다. Ⅰ형은 전형적인 단독분이며, Ⅱ형은 부로 판단되고, Ⅲ형은 가족의 연계성을 나타낸 분묘의 형으로 판단된다. 내부에서 유물이 출토되는 28호 분묘를 제외하고는 분묘의 시기를 판단할 수 없지만, 기존의 조사된 분청사...
    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북도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4)

  • / [정치·법제]

    를 마친 후 종묘 시향때나 별도의 날을 정하여 를 거행하였다. 때에는 사대의 대수가 다한 선왕의 신주를 영녕전으로 옮기는 체천과 공신의 배향이 함께 이루어진다.

  • 김흠조부출토유물 / 金欽祖夫出土遺物 [생활/의생활]

    조선 중종대의 문신 김흠조(金欽祖) 부부의 묘에서 출토된 유물 일괄. 분묘의 형태는 동묘이곽형(同墓異槨形)의 합장묘였는데, 출토유물 중 복식류는 단령(團領) 7점, 직령(直領) 2점, 답호(조끼류) 11점, 철릭 13점, 상의류 6점, 바지류 8점, 모자 1점, 도아

  • 복위도감 / 復位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함과 동시에 노산군묘와 부인 송씨의 묘를 각각 장릉(莊陵)과 사릉(思陵)으로 조성하기 위한 의전 담당기구였다.

  • 옥보 / 玉寶 [정치·법제]

    임금이나 왕후 등의 추상 존호, 시호, 등의 글자를 새긴 도장. 대개 전자로 새겼다. 종묘에 할 때 이러한 옥보를 옥책과 함께 책보요여와 책보채여 등을 이용하여 옮겼다.

  • 목두 / 木豆 [예술·체육/공예]

    젖은 물건을 담기에 알맞고 변(籩)은 마른 것을 담기에 알맞다고 하였다. 조선시대 기록으로는 “왕의 신위를 종묘에 ()할 때, 목두는 물기가 있는 제수용 제물을 담는 제기로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도감의궤(都監儀軌)』에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