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희빈장씨” 에 대한 검색결과 1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0)

사전(9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01(숙종 27). 조선 숙종의 후궁. [개설]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역관 장현(張炫)의 종질녀이다. 어머니의 정부(情夫)였던 조사석(趙師錫)과 종친인 동평군 항(東平君杭)의 주선으로 궁녀로 들어가 숙종의 총애를 독차지했다. ...
  • 목임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년 민비가 죽자 희빈 장씨()를 중궁으로 올리자고 심단(沈檀)‧민언량(閔彦良) 등과 더불어 상소를 올렸던 죄로 국모모해사건의 발각과 동시에 남인의 세력이 완전히 축출당할 때 다시 장흥에 원찬(遠竄)되었다. 그 뒤 여러 번 구제의 상소가 있은 뒤 1704년...
    이칭별칭 사백(士伯)| 청헌(靑軒)
  • 이봉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때 함께 파직되었다. 1698년 형조참판으로 복직되고, 1701년 부사직으로 희빈 장씨()의 사사(賜死)를 반대, 지도(智島)에 위리안치되었다.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이칭별칭 명서(鳴瑞)| 은봉(隱峰)
  • 이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을 하사받았다. 한편, 희빈 장씨()와 친하였고, 숙종의 총애를 받았기 때문에 권세를 휘둘렀다. 1690년 아버지의 장사를 지내기 위하여 공주 오룡동(五龍洞)의 수백호 민가를 강제로 점령하여 추방하였다. 이에 주민 이기양(李基陽) 등이 사헌부에 탄원하여...
    이칭별칭동평군(東平君)
  • 이진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임무를 마치고 돌아와 이듬해 교리ㆍ헌납ㆍ집의를 역임한 뒤, 1700년 사간ㆍ부수찬ㆍ보덕을 지냈다. 이듬해 집의로 있으면서 ()의 사사(賜死)에 반대한 행부사직(行副司直) 이봉징(李鳳徵)을 처벌하는데 논의를 회피하다가 파직당하였다. 1702년 필...
    이칭별칭 춘장(春長)

단행본(1)

  • 숙종대왕 자료집 4 - 비지, 망단, 제문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이태희, 이남옥, 성인근, 박용만 한국학중앙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50920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后加上尊號望單 인원왕후시호등망단 仁元王后諡號等望單 인원왕후추상존호옥책문 仁元王后追上尊號玉冊文 ◆ 대빈묘고유제홀기 大嬪墓告由祭笏記 대빈묘청명제홀기

고서·고문서(18)

  • [1690]왕세자책례등록(王世子冊禮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예조에서 1690년 의 왕비책봉과 왕세자(후의 경종)책봉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등록이다. 하지만 이 등록은 1689년 5월 6일 를 왕비로 책봉하려 하니, 이를 속히 준비하라는 숙종의 하교로부터 시작하고 있다. 이후 왕비책봉과정, 왕세자의 탄생과 원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인원왕후국장도감의궤상(仁元王后國葬都監儀軌上)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明宗)의 첫째 아들인 순회세자(順懷世子)의 묘인 순창원(順昌園)과 숙종의 후궁 ()의 묘가 있다. 조선후기 왕비의 국장에 관한 모습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으며, 특히 각종 기물(器物)의 채색도설(彩色圖說) 뿐만 아니라 〈반차도(班次圖)〉가 있어 그 모습...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인원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元王后國葬都監儀軌下)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明宗)의 첫째 아들인 순회세자(順懷世子)의 묘인 순창원(順昌園)과 숙종의 후궁 ()의 묘가 있다. 조선후기 왕비의 국장에 관한 모습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으며, 특히 각종 기물(器物)의 채색도설(彩色圖說) 뿐만 아니라 〈반차도(班次圖)〉가 있어 그 모습이...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인원왕후빈전도감의궤(仁元王后殯殿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릉(昌陵)‧익릉(翼陵)‧홍릉(弘陵)과 함께 서오릉(西五陵)이라는 별칭(別稱)으로 불린다. 경내에는 명종(明宗)의 첫째 아들인 순회세자(順懷世子)의 묘인 순창원(順昌園)과 숙종의 후궁 ()의 묘가 있다.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인원왕후혼전도감의궤(仁元王后魂殿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子)의 묘인 순창원(順昌園)과 숙종의 후궁 ()의 묘가 있다. ‧ 본 의궤는 1757년(영조33) 3월 26일 인원왕후가 창덕궁(昌德宮) 영모당(永慕堂)에서 승하(昇遐)하자 혼전인 효소전(孝昭殿)을 설치하였던 과정을 기록하고 있으며, 혼전도감에서 편...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주제어사전(7)

  • / [역사/조선시대사]

    ?∼1701(숙종 27). 조선 숙종의 후궁. 장현 종질녀이다. 조사석과 종친인 동평군 이항의 주선으로 궁녀로 들어가 숙종의 총애를 받았다.1686년(숙종 12) 숙원이 되었다. 1688년 소의로 승진하고 왕자 이윤을 낳았다. 왕은 기뻐하여 세자로 봉하려 했다. 왕비

  • 왕세자(경종)정명망단 / 王世子(景宗)定名望單 [정치·법제]

    소생인 숙종의 원자의 이름을 의정하기 위해 1690년(숙종 16) 4월에 빈청에서 국왕의 낙점을 바라며 올린 왕자정명 망단. 이 망단은 원자의 이름 글자를 '윤, 전, 완'의 세 자를 써서 삼망을 갖춘 것인데, 이에 대해 숙종은 첫 번째의 망 '윤'자에 점을

  • 왕세자(경종)정자망단 / 王世子(景宗)定字望單 [정치·법제]

    소생인 숙종의 왕세자 윤의 자를 의정하기 위해 1695년(숙종 21) 3월에 빈청에서 국왕의 낙점을 바라며 올린 왕자정자 망단. 이 망단은 숙종이 윤의 자로 '휘서'를 낙점하였다. 자는 성인으로 대우해 주기 위해 이름대신에 부르는 별명인데, 이름 글자의 의미

  • 저경궁연호궁대빈궁선희궁춘추분진설도 / 儲慶宮延祜宮大嬪宮宣禧宮春秋分陳設圖 [정치·법제]

    진설도. 선조의 후궁이며 추존왕인 원종을 낳은 인빈 김씨의 신위를 모신 저경궁, 숙종의 후궁인 의 대빈궁, 영조의 후궁인 정빈 이씨의 연호궁, 영조의 후궁인 영빈이씨의 선희궁에서 춘분, 추분에 제사를 지낼때와 고유제를 지낼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이다

  • 저경궁대빈궁연호궁선희궁 춘추분제진설도 / 儲慶宮大嬪宮延祜宮宣禧宮春秋分祭陳設圖 [역사/조선시대사]

    진설도. 선조의 후궁 인빈김씨 신위를 모신 저경궁(儲慶宮), 숙종의 후궁 신위를 모신 대빈궁(大嬪宮), 영조(英祖)의 후궁 정빈이씨 신위를 모신 연호궁(延祜宮), 영조의 후궁 영빈이씨 신위를 모신 선희궁(宣禧宮)에서 춘분·추분에 치르는 제사에 쓰이느 제수(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