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흥원창” 에 대한 검색결과 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

사전(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흐르는 섬강이 합류되는 부근으로서, 현재의 원주시 부론면과 여주군 강천면이 접하는 강변으로 추정된다. 에는 적재량이 200석인 평저선(平底船) 21척이 있어서 강원도 남부지방의 세곡을 수납, 한강의 수운을 이용하여 예성강 입구의 경창(京倉)으로 운송하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참선(站船)이 배치되어 있었다. 고려시대의 ()을 계승하여 운영하였다. 원주‧평창‧영월‧정선‧횡성 등 강원도 영서지방 남부 5개 고을의 세곡과 강릉‧삼척‧울진‧평해 등 영동지방 남부 4개 고을의 세곡을 수납, 보관하였다가 일정한 기일 안에 경창(京...
  • 강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海倉), 하천 연변에 설치된 것을 강창이라 하였다. 강창의 설치는 고려시대 한강 연변에 설치된 충주의 덕흥창(德興倉), 원주의 ()에서 비롯되었다. 이들 강창에서는 남한강 유역 일대의 세곡을 수납, 운송하고 있었다. 강창의 기능은 조선시대에 조운제(漕運制)...
  • TD_L14_D_3407 曹愼 인물 判官 忠烈王時, 元冲甲, 哈丹 D_15_02_27 대동운부군옥 15권 2장 2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2장 2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소양강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 강원도 춘천시 우두동에 설치되었던 조창(漕倉). [내용] 가흥창(可興倉)‧()과 함께 좌수참(左水站)에 소속되어 인근 고을의 세곡을 운송하였다. 좌수참에는 51척의 참선(站船)이 배치되어 있었다. 소양강창에서...

고서·고문서(16)

  • 行次,陪韓監察【光傳】丈夜話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0180 行次,陪韓監察【光傳】丈夜話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
    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20877 B020877 경양포 慶陽浦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15 方輿總志 高麗 _ ... 道連浦狄踰嶺以北爲女眞諸部恭愍王時拓地東北則至于鏡城西北則至于江界○漕倉國初置十二漕倉於南道水郡成宗十二年置常平倉于兩京十二牧德興倉在忠州今可興倉平底船二十艘一艘載二百石在原州平底船二十一艘...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潺之隘口抵鴨綠江 道連浦狄踰嶺以北爲女眞諸部恭愍王時拓地東北則至于鏡城西北則至于江界○漕倉國初置十二漕倉於南道水郡成宗十二年置常平倉于兩京十二牧德興倉在忠州今可興倉平底船二十艘一艘載二百石在原州平底船二十一艘河陽倉在牙州今稷山慶陽浦海倉前號打伊浦又改便涉浦 ...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507 B014507 강도 江都 정치행정 顯宗改修實錄 八年(1667) 五月 현종개수실록_10805006_002 , 宜速運京倉大豆一千五百石、田米五百石, 于, 使之分賑飢民矣。” 上從之。 上曰: “卽今井泉枯涸, 人將渴死。” 致和曰: “此非泛然流行之災。 臣自省事以來...
    출처전거顯宗改修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사짓고, 우리집, 찾아, 주숙, 결혼, 딸, 하나, 낳고, 고향찾아, 3식구, 평양진, , 백화상점, 점원질, 큰물, 우리집, 문어져, 새집, 짓게, 고생, 상점, 퇴직, 함께, 농사
    대표표제어수천리 | 성씨

신문·잡지(30)

  • 靈丹 謹히滿天下同胞에弘告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港龍洞 濟 生 堂 特 約 店 漢城壽洞 博愛堂藥房 漢城東門外 養生醫院약局 漢城新門外 普濟院藥房 漢城남門外 廣 濟 藥 院 楊州熢下里 崔 承 煥 原州 宋 錫 疇 南陽大阜島 張生員약房 延安邑內 明 禹 錫 (附言)初次請賣시君子帝國新聞社에셔見신旨로寄別시옵 (一貼金十...
    게재일1907년 9월 10일 | 기사분류광고
  • 靈丹 謹히滿天下同胞에弘告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港龍洞 濟 生 堂 特 約 店 漢城壽洞 博愛堂약房 漢城東門外 養生醫院약局 漢城東門內蓮洞新作路隅 崔榮彬笠房 江界邑內弘化洞 崔 錫 敏 漢城新門外 普濟院藥房 漢城남門外 廣 濟 藥 院 楊州熢下里 崔 承 煥 原州 宋 錫 疇 南陽大阜島 張生員약局 延安邑內 明 禹 錫 (附言)初...
    게재일1907년 9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 靈丹 謹히滿天下同胞에弘告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川龍洞 濟 生 堂 特 約 店 漢城壽洞 博愛堂藥房 漢城東門外 養生醫院약局 漢城東門內蓮洞新作路隅 崔榮彬笠房 江界邑內弘化洞 崔 錫 敏 漢城新門外 普濟院藥房 漢城남門外 廣 濟 藥 院 楊州熢下里 崔 承 煥 原州 宋 錫 疇 南陽大阜島 張生員약局 延安邑內 明 禹 錫 (附言)初...
    게재일1907년 9월 17일 | 기사분류광고
  • 靈丹 謹히滿天下同胞에弘告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港龍洞 濟 生 堂 特 約 店 漢城壽洞 博愛堂약房 漢城東門外 養生醫院약局 漢城東門內蓮洞新作路隅 崔榮彬笠房 江界邑內弘化洞 崔 錫 敏 漢城新門外 普濟院藥房 漢城남門外 廣 濟 藥 院 楊州熢下里 崔 承 煥 原州 宋 錫 疇 南陽大阜島 張生員약局 延安邑內 明 禹 錫 (附言)初...
    게재일1907년 9월 20일 | 기사분류광고
  • 靈丹 謹히滿天下同胞에弘告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港龍洞 濟 生 堂 特 約 店 漢城壽洞 博愛堂약房 漢城東門外 養生醫院약局 漢城東門內蓮洞新作路隅 崔榮彬笠房 江界邑內弘化洞 崔 錫 敏 漢城新門外 普濟院藥房 漢城남門外 廣 濟 藥 院 楊州熢下里 崔 承 煥 原州 宋 錫 疇 南陽大阜島 張生員약局 延安邑內 明 禹 錫 (附言)初...
    게재일1907년 10월 4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2)

  • / [경제·산업/경제]

    강원도 원주시 법천동에 설치되었던 조선 전기의 조창. 1413년 (태종 13) 영동지방의 세곡을 주창(主倉)에 남겨두고 군사용의 물자로 사용하게 하면서 영서지방의 세곡만 운송하였다. 그 운송항로는 한강의 수로를 따라 서울의 용산강변에 이르는 것이었다. 소양강창과 함께

  • 소양강창 / 昭陽江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전기 강원도 춘천시 우두동에 설치되었던 조창. 가흥창·과 함께 좌수참(左水站)에 소속되어 인근 고을의 세곡을 운송하였다. 좌수참에는 51척의 참선이 배치되어 있었다. 소양강창에서는 춘천·홍천·인제·양구·낭천 등 5개 고을의 세곡을 수납, 보관하였다가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