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흥사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7)
사전(72)
- 흥사단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07년에 모든 국민을 선비로 만든다는 ‘국민개사(國民皆士)’를 실천목표로 정하여 유길준(兪吉濬, 1856-1914)이 발족한 계몽운동단체.정의1907년에 모든 국민을 선비로 만든다는 ‘국민개사(國民皆士)’를 실천목표로 정하여 유길준(兪吉濬, 1856-1914)이 발족한 계몽운동단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eungsadan | MR표기Hŭngsad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흥사단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13년 5월 13일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 1878-1938)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립한 민족운동단체.정의1913년 5월 13일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 1878-1938)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립한 민족운동단체.[두산백과] | 문광부표기Heungsadan | MR표기Hŭngsad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국민교육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돕고자 1천원을 기부하기도 하였으나, 이 회는 1907년 11월 재정난으로 흥사단(興士團)에 인계된 것 같다. 『한국근대민족교육(韓國近代民族敎育)의 이념연구(理念硏究)』(손인수, 문음사, 1983) 『한국개...이칭별칭대한국민교육회
- 이광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주(蘇州)에 있는 중국 기술학교에 입학하여 1925년 7월에 졸업했다. 이후 상해에서 흥사단 원동지부 제3반 반장(1933∼1934), 흥사단 원동지부 제4반 반원(1935), 인성학교 상임위원으로 활동했다. 1934년 한인애국단에 가담하고, 낙양군관학교(洛陽軍...이칭별칭이명옥(李溟玉)
- 박규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21년 상해(上海)로 망명,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비밀요원으로 일본영사관을 습격하는 등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1926년 흥사단(興士團) 요원으로 활약하다가, 1931년 8월 상해의 일본영사관 경찰에 붙잡혔다. 1932년 1월 평양복심법원에서 징역 6년을 언도받...
단행본(1)
- 민족독립혁명가 도산 안창호 평전 [고종시대 인물연구 | 청암대학교]저자 : 신용하 ... | 출판사 : 지식산업사 | 출판일 : 20210105이 책은 도산 안창호 선생의 생애와 업적을 한국민족과 사회의 변혁과정의 시각에서 서술한 평전이다. 도산 안창호 선생은 개량주의적 ‘민족개조론자’가 아니고 당시 최고의 ‘민족혁명가’였다. 저자가 이 사실을 절감한 것은 ‘신민회’에 대한 연구논문을 쓰던 1970년대였다...
고서·고문서(64)
- 初等本國略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初等本國略史 卷一 初等本國略史_卷一 第一 檀君 박정동(흥사단편집부) 1909 동문관 국회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우리 太祖高皇帝,開國紀元前三千七百二十四年에 檀君이 나라를,셰우시니 檀君은 우리나라의 처음,나신님금이시라 神靈ᄒᆞ신德이 하날쳐름,크...서명初等本國略史 | 자료명第一 檀君
- 初等本國略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初等本國略史 卷一 初等本國略史_卷一 第三 哀王의伐楚 박정동(흥사단편집부) 1909 동문관 국회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哀王은 文聖王의四十二世孫이라 이ᄯᆡ에 나라사람이 武藝를崇尙ᄒᆞ며 勇猛을됴하ᄒᆞ야 매양 멀니,치기를 生覺ᄒᆞ더니 紀元前一千五百...서명初等本國略史 | 자료명第三 哀王의伐楚
- 初等本國略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初等本國略史 卷一 初等本國略史_卷一 第四 三韓 박정동(흥사단편집부) 1909 동문관 국회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武康王은 哀王의아달이라 紀元前一千五百八十三年에 燕人,衞滿의亂을因ᄒᆞ야 國都를金馬郡(今全羅北道益山郡)에옴기고 國號를,곳치어갈오대 馬...서명初等本國略史 | 자료명第四 三韓
- 初等本國略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初等本國略史 卷一 初等本國略史_卷一 第十四 新羅統一 박정동(흥사단편집부) 1909 동문관 국회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新羅ᄂᆞᆫ 朴氏,昔氏,金氏三姓이 셔로傳ᄒᆞ야 나라를,다사릴새 님금이 다,仁聖ᄒᆞ야 百姓을愛恤ᄒᆞ고 臣下ᄂᆞᆫ忠誠ᄒᆞ야 님금을...서명初等本國略史 | 자료명第十四 新羅統一
- 初等本國略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初等本國略史 卷一 初等本國略史_卷一 第二十 崔冲의興學 박정동(흥사단편집부) 1909 동문관 국회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崔冲은 高麗文宗ᄯᆡ太師이니 風神이奇偉ᄒᆞ고 志氣가剛壯ᄒᆞ야 넓히배호아 文章이 一世에읏듬이라 이ᄯᆡ에 顯宗써,後로 干戈의일이...서명初等本國略史 | 자료명第二十 崔冲의興學
기초학문(2)
- 미군정하 흥사단 계열 지식인의 국가건설 구상과 냉전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장규식, 게재일 : 201126925 장규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사학회/한국사상사학회 2011 미군정하 흥사단 계열 지식인의 국가건설 구상과 냉전인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한국YMCA 사회교육실천가의 전문성에 관한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미향, 게재일 : 2017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60211&local_id=10074169 한국 비제도권 사회교육자의 전문성에 관한 역사 연구 - YMCA와 흥사단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27)
- 흥사단 운동약해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5) 단결론 흥사단 운동약해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47년 흥사단국내위원회 『흥사단 운동략해』(서울:태극서관,1947)(pp.1-38, 48-50) 기관지 76 필자는 조선민족이 어찌 살 길을 찾을까, 어떻게 “자유와 번영의 길...대표표제어흥사단 운동약해 | 자료유형기관지 | 집필자흥사단국내위원회 | 출처『흥사단 운동략해』(서울:태극서관,1947)(pp.1-38, 48-50) | 키워드자유와 번영의 길, 인류사회, 착취, 역사적 진군, 실제적 역량
- 민세안재홍전집 : 交友錄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中央學校, 中東學校, 光文會, 東亞日報, 百五人事件, 太平洋會議, 甲申政變, 同志會, 興士團, 東明, 時代日報 B19350615삼천02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3.1정신의 역사성과 실현성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시 미국에 있었음을 말하면서 미국에서 벌어졌던 운동을 예로 들어 3.1운동의 정신을 설명한다. 그가 생각하는 3.1정신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각자의 인격수양을 통한 민족성개조 운동”이며 이를 근본과제로 삼은 것이 바로 흥사단이다. 흥사단을 조직한 도산선생이 주장한 것...대표표제어3.1정신의 역사성과 실현성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백낙준 | 출처기러기 165호 | 키워드3.1운동, 3.1운동의 정신, 민족정신, 흥사단, 민족성 개조, 인격수양, 무실역행, 도산선생
- 기러기_1967_4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도서관 직인. 흥사단의 발전을 위한 전략 (1) 안병욱 2 도산의 인격과 생애 (10)-도산과 이상촌 장리욱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7
- 기러기_1967_4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유석창 7 제54차대회상황 8 선언 10 사회정화와 흥사단-흥사단 54차 강론회에서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7
기타자료(1)
- 구익균;具益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興士團 내학교소재지역상하이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5)
-
흥사단 / 興士團 [역사/근대사]
1913년 5월 13일 도산 안창호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립한 민족운동단체. 민족 통일, 민주주의 발전, 시민사회 성장, 건전한 청소년 육성을 위한 사회교육·국민훈련기관이다. 1913년 5월 13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의 주도로 경기도 홍언, 강원도 염만석,
-
조병옥 / 趙炳玉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정치가(1894-1960). 한인회·흥사단 등의 단체에 참여하여 독립운동을 했다. 신간회 창립위원·재정총무를 역임하기도 했으며 광복을 맞이해 한국 민주당을 창당하고, 미군정청의 경무부장에 취임, 치안 유지와 공산당 색출에 진력하기도 했다. 저서로
-
채수반 / 蔡洙般 [역사/근대사]
1900-1955. 독립운동가. 평안북도 영변 출신. 흥사단(興士團) 단원으로 농우회(農友會)를 중심으로 항일독립운동을 한 애국지사이다. 3·1운동 이후 전국으로 확산된 민족계몽운동의 일환인 독서회(讀書會)를 통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다가 1920년 일본경찰에 붙잡혀
-
천세헌 / 千世憲 [역사/근대사]
년 흥사단(興士團)에 가입하고, 1921년 대한민족대표단 후원회를 조직한 후 외교선전 경비를 위한 자금모금활동을 하였다. 1922년 중국 상해로 건너가 임시 정부에 국민대표회의를 열 것을 촉구하는 청원서를 내었다. 1940년 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 시카고지방지회를 설립한
-
홍언 / 洪焉 [역사/근대사]
. 1907년(융희 1) 하와이 한인협성협회를 조직하고 《한인합성신보》 등을 발행하였다. 1909년(융희 3) 이후 《신한국보》와 《신한민보》 발간에 가담하였다. 1913년 안창호와 함께 흥사단(興士團)을 설립하였다. 1919년 3·1운동 후 대한인국민회 화교위원(華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