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흑하사변”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21년 러시아령 자유시에서 대한독립군단이 레닌의 적군(赤軍)과 교전한 사건. [역사적 배경] 1920년 삼둔자전투(三屯子戰鬪)‧봉오동전투(鳳梧洞戰鬪)‧청산리전투(靑山里戰鬪) 등에서 독립군이 일본군에게 대승을 거두자, 일본측은 만주에 있...
    이칭별칭자유시사변
  • 무장독립운동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대회 : 여러 독립운동단체의 통일체 구성을 위해 북경(北京)에서 열린 군사통일회와 대한민국임시정부 개조를 위해 개최된 국민대표대회. 제7장 노령 내(露領內)의 독립군 활약 : 대한독립군결사대‧대한독립군‧고려군관학교 및 (). 제8장 ...
  • 이한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린 코민테른 제2차대회에 참가하였으며 그해 가을 상해로 가서 이동휘 김립등과 함께 한인사회당을 공산당으로 변경하고 중앙위원으로 선발되었다. 1921년 봄 직전에 그는 이동휘의 입장을 지지하고 상해파의 입장에 섰다. 자유시 사변 당시 러시아공산당 극동국...
  • 지청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등과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을 조직하고 군단의 여단장이 되었는데, 이때 이청천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1921년 6월 소련혁명군과의 마찰로 ()이 났을 때 포로가 되었으나, 북만주로 탈출하여 고려혁명군(高麗革命軍)을 조직하였다...
    이칭별칭 백산(白山)|이청천
  • 서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조직하고 총재가 되었다. 1921년 적군(赤軍)의 후원을 받은 토비(土匪)들 수백 명이 야간에 내습‧살인‧방화‧약탈을 자행하여 청년장병 다수가 희생당하는 ()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에 같은해 8월 27일 “나라 땅은 유리쪽으로 부서지고 티끌모...
    이칭별칭 백포(白圃)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1921년 러시아령 자유시에서 대한독립군단이 레닌의 적군과 교전한 사건. 1921년 1월 대한독립군단은 흑룡강을 건너 노령 자유시 이만 일대에 주둔, 레닌 정권의 치따 지방정부와 협정을 맺어 독립군의 실력 양성을 꾀하였다. 그러나 이해에 소련정부 대표 카라한과 일본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