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훈민정음운해”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정음연구(韻解訓民正音硏究)』(강신항, 한국연구원, 1967) 『고친 한글갈』(최현배, 정음사, 1961) 『한국문자급어학사(韓國文字及語學史)』(김윤경, 동국문화사, 1954)
    이칭별칭운해 훈민정음|운해|훈민정음도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750년(영조 26)에 신경준이 훈민정음의 음운 원리를 그림으로 그려 역학적으로 풀이한 음운 연구서
    정의1750년(영조 26)에 신경준이 훈민정음의 음운 원리를 그림으로 그려 역학적으로 풀이한 음운 연구서 | 문광부표기Hunmin jeongeum unhae | MR표기Hunmin chŏngŭm unh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담원국학산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大東輿地圖)ㆍ담헌서(湛軒書)ㆍ초원유고(椒園遺藁)ㆍ택리지(擇里志)ㆍ()ㆍ음우비(陰雨備)ㆍ원교집(圓嶠集)ㆍ항해총서(沆瀣叢書)ㆍ소재집(疎齋集)ㆍ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ㆍ곽우록(藿憂錄)의 해제, 국학인물론에는 정철(鄭澈)과 국문학, 정약용(丁若鏞)의...
  • 설씨부인신경준선생유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依表圖≫‧≪도로고 道路考≫‧≪산경표 山經表≫‧≪ ≫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의 유집으로 여암집(旅庵集)이 있다. 설씨부인과 신경준이 태어나고 살았던 남산대 일원의 유지(遺址) 1,074㎡는 1994년 8월 10일에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여암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부분 「도로고(道路考)」만 4권으로 구성되어 있고, 뒤로는 권차 없이 제1책의 잡저와 중복되다가 끝부분에 「()」가 있다. 시는 장연현감(長淵縣監) 시절 영조의 명에 의해 지은 「민은시(民隱詩)」 10장을 맨 앞에 놓고 나머지는 연대별로...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2)

  • / [언어/언어/문자]

    1750년(영조 26) 신경준(申景濬)이 지은 책. 권두에 ‘황극경세성음창화도’를 본보기로 하여 만든 ‘경세성음수도(經世聲音數圖)’를 싣고, 둘째번의 ‘훈민정음도해(訓民正音圖解)’ 부분에서 한글을 초성·중성·종성으로 나누어서, 역(易)의 상형설을 가지고 설명하되 권두의

  • 담원국학산고 / 薝園國學散稿 [종교·철학/유학]

    ·초원유고(椒園遺藁)·택리지(擇里志)·()·음우비(陰雨備)·원교집(圓嶠集)·항해총서(沆瀣叢書)·소재집(疎齋集)·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곽우록(藿憂錄)의 해제, 국학인물론에는 정철(鄭澈)과 국문학, 정약용(丁若鏞)의 생애와 업적, 신채호(申采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