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훈련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1,0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38)

사전(648)

  • 양향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소속의 재정 관서. [내용] 1593년(선조 26) 의 발족과 함께 설치되었다. 에서 소용되는 의복‧무기‧비품 등의 물품을 조달하고, 급료 등의 재정을 관리, 운영하였다. 여기에는 도제조(都提調)...
  • 동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의 본영(本營). [내용] 현재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의동에 있었다. 의 본영은 1594년(선조 27) 서부 여경방(餘慶坊)에 세워져 300여년간 사용하였으나, 고종 초에 동별영으로 옮겼다가 1882년(고종 19...
  • 북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서울 종로구 원서동(苑西洞) 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군영. [내용] 의 본영으로서 창덕궁 서쪽 지금의 원서동에 있었다. 건물은 총 235칸이다. 본영은 의 사령부였을 뿐만 아니라 창덕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쟁을 수행하고, 나아가서는 발전된 사회상에 맞는 군사 제도를 갖추기 위해 군사 조직의 재정비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앙에 급료병으로써 새 군사 편제에 의해 설치한 것이 이다. 이 기구의 창설은 전쟁이 소강 상태에 접어든 1593년 7월 명나라...
    이칭별칭훈국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설치되었던 중앙군영.
    정의조선 후기에 설치되었던 중앙군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Hullyeon Dogam | MR표기Hullyŏn To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389)

  • () 초기(草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 초기(草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597년 () 관(關)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597년 5월 22일에 에서 해남에 거주하는 전 참봉윤모가 왜란 중인 1593년에 쌀 30석을납속하고 그에 대한 상으로 사복시 판관의 납속첩을 받았다는 사실을 이조에 확인해 주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관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관 | 현소장처무안 여흥민씨 민종기
  • (군병) 의 군향보는 납미하고 포수보는…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는 조선후기 , 병조, 각도(各道), 각 지방의 영진(營鎭), 각 관청 등에서 운영되고 있던 입번(入番), 상번(上番), 납미(納米), 납포(納布) 등 군사관련 규정에 대해 정리한 것으로 총 16매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외교 및 군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구관제도조사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는 1929년 3월 15일부터 10일간 경상남도 통영, 마산, 진주의 옛 행정조직, 군의 연혁 및 재판의 방법 등을 조사한 것이다. 옛 행정조직의 연혁을 조사하고, 나아가 각 군별로 특징적인 사항을 조사하여 기록하였다. 통영군에서는 방(坊) 설치방식, 선세와 어...
    분류관습조사일반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기타자료(1)

  • 도 발견되었는데 순조 32년(1832)에 에서 주조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發掘 調查에 의해 밝혀진 것을 綜合해보면 아래와 같이 요약될 수 있겠다. 1) 鉢浦鎭城은 平地城과 山城의 절충양식인 平山城 또는 半山城의 형식이다. 2) 石城으로서 둘레 약 5...
    발행연도1977 | 발굴기관발포충무공유적고흥보존위원회 | 발굴지역전라남도

주제어사전(50)

  • / [정치·법제/국방]

    군은 포수·살수·사수로 구분되어 삼수군으로 조직되었으며, 그 수는 약 1,000명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의 급료를 받는 직업군인이었다.

  • 동별영 / 東別營 [정치·법제/국방]

    조선 말기 의 본영. 현재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의동에 있었다. 의 본영은 1594년(선조 27) 서부 여경방(餘慶坊)에 세워져 300여년간 사용하였으나, 고종 초에 동별영으로 옮겼다가 1882년(고종 19) 이 혁파되면서 폐지되었다.

  • 국별장청 / 局別將廳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의 소규모 특수 관서. 의 항오출신 무과급제자로 구성된 국출신 부대를 통솔하여 창덕궁의 후문인 영숙문과 숭지문의 숙위를 담당하였다. 여기에는 정3품 국별장 3인과 국출신 150인이 소속되어 있었다.

  • 양향청 / 糧餉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소속의 재정 관서. 1593년(선조 26) 의 발족과 함께 설치되었다. 에서 소용되는 의복·무기·비품 등의 물품을 조달하고, 급료 등의 재정을 관리, 운영하였다. 관제로는 도제조 1원, 제조 3인, 낭청(종사관) 1인의 관원을 두었

  • 권무청 / 勸武廳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양반자제들에게 무술을 장려하기 위하여 과 어영청에 설치한 특수 병종. 인조 때 지위와 문벌이 좋은 양반의 자제들을 뽑아 권무청이라 이름하고 군사훈련을 시킨 적이 있었고, 효종 때는 과 어영청에서 양반자제들을 선발하여 훈련시키고, 성적이 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