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후재집”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징수 방법을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당시의 사회경제사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수록」은 우리나라의 제도‧인물‧풍속‧역사‧붕당 등을 수상록 형태로 기록해 놓은 것이다. 조선 후기의 문신,...
  • 양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享祠)되었다. 시호는 충민(忠愍)이다. 『정조실록(正祖實錄)』 『()』
    이칭별칭 언신(彦信)| 충민(忠愍)
  • 조문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되었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지례현읍지(知禮縣邑誌)』
    이칭별칭 민보(敏甫)| 둔촌(遁村)
  • 최방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0세 때 노인직으로 지중추부사가 되었다. 『()』
    이칭별칭 미백(美伯)| 양정당(養正堂)
  • 김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칭별칭 미중(美仲)

단행본(1)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8세기) 15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1.08.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厚菴集 塤篪兩先生集 喜懼齋遺稿 希菴集 戱齋雜錄

고서·고문서(1)

  •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卷一 詩 小泉-己酉(1669), 絕糧-辛亥(1671), 白川舟中述懷-壬子(1672), 白川旅館, 靜菴趙先生手種槐樹-癸丑夏(1673), 蓮, 夜見遠村燈火, 次三從弟士直-楺-九日詩韻, 阻雨宿龍津江村-乙卯(1675), 次任大年-元耇-所寄韻, 覆次阻雨江村韻, 次洪海上人韻,...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김간의 시문집. 간행연대 미상. 46권, 별집 4권, 합 50권 25책. 목판본. 권1에 시, 권2∼4에 주차·서계·수의, 권5∼7에 서, 권8∼10에 답문경의, 권11∼16에 답문예의, 권17∼20에 소학차기, 권21∼23에 대학차기, 권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