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3,3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4,409)
사전(68,413)
- 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문안 편지. 不備上候, 신기선(申箕善), 21(智)-44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봉작(封爵)의 등급. [내용] 봉작에는 크게 왕(王)으로 봉해주는 왕작(王爵)과 공후백자남(公侯伯子男)의 5등작이 있었다. 고려의 경우 종친이나 일반 신하에게 실제 봉작해준 것은 5등작이었다. 다만 종친의 경우는 5등작에서 공후...
- 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초기 국가의 지배자를 칭하는 말.정의초기 국가의 지배자를 칭하는 말.[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u | MR표기h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86)
- 후세 다츠지 평전 [일제강점기 항일변호사 평전 | 강릉원주대학교]저자 : 전병무 ... | 출판사 : 역사공간 | 출판일 : 20220223후세 다츠지는 일제강점기 일본과 조선에서 조선의 독립과 조선 민중의 인권옹호를 위한 지지와 투쟁에 평생을 바친 일본인 변호사이다. 일본에서는 2.8독립선언 사건, 김지섭 사건, 박열 사건 등을 변론했고,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 규탄, 조선인 폭동을 상정한 오타루고등상업학...
- 李朝后期社会汉诗硏究 [중국내 한국학 STEAM 교육과정 개발을 통한 융합형 인재 양성 사업 | 山東大學 (Sandong University)]저자 : 우림걸(산동대학), 진재교, 이학당... | 출판사 : 山東大學出版社 | 출판일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1. (1) (2) (3) (4) (5) (6) (7) (8) (9)
- 조선시대 언간을 통해 본 왕실 여성의 삶과 생활세계 [조선시대 언간을 통해 본 남성과 여성의 삶 | 제주대학교]저자 : 이남희 ... | 출판사 : 도서출판 역락 | 출판일 : 20211223이 책은 언간을 통해서 왕실 여성의 삶과 생활세계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일차적으로 왕비, 왕후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례로는 명성왕후, 인현왕후, 혜경궁홍씨, 정순왕후, 신정왕후, 순명효왕후를 다루었다. 왕비도 언간을 통해서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고 있었다. 외부와의 ...
- 조선후기 통제영의 충렬사와 고문서 [부산, 동부경남지역 고문서 자료의 수집, 정리와 <고문서 연구총서>의 출간 | 동아대학교]저자 : 이훈상(동아대학교 사학과 교수)... | 출판사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한국학연구소 | 출판일 : 2014.02.28분야생활 | 유형단행본발간사 Ⅰ. 조선후기 통제영의 충렬사와 고문서 1. 충렬사의 건립과 소장 고문서의 목록 2. 충렬사의 정비와 운영 원칙 3. 書齋의 설립과 설립자 통제사 최숙
- 后危机时代的韩经济关系 [중앙민족대학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저자 : 김춘선(중앙민족대학), 조진평(중앙민족대학)... | 출판사 : 中央民族大学出版社 | 출판일 : 2011.08.08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1) (2) (3) (4) (5) (6) (7) (8) (9)
논문(77)
- 한반도 홀로세 후기 기후와 적도 태평양 해수면 온도 간의 연관성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저자 : 박정재 | 게재정보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청조후기 柏葰의 조선에서의 활동 시론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전영 | 게재정보 : 연변대학학보유형논문
- 孤竹國의 성립과 古朝鮮 侯國의 지위 [고조선 국가의 발전과 영역의 확대 | 울산대학교]저자 : 신용하(울산대학교) | 게재정보 : 고조선단군학 28권, 게재일 : 2013유형논문
- 박영준 해방전후의 만주서사와 그 의미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한홍화 | 게재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50 , 게재일 : 201506유형논문
- 해방전후 이욱 시의 주제의식 변화 연구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岳俊宏 | 게재정보 : 東方學術論壇유형논문
고서·고문서(117,591)
- 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후 최 남자 강원도 강릉시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龙县) 용성향 인민정부 3 2 후, 편지거래, 지금, 종적모름...대표표제어후 | 성씨최
- 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후 김 남자 경상북도 김천시 요녕성(辽宁省) 강평현 동관향 동관촌7조 2 2 후, 고국, 되도라가다, 고무님, 성...대표표제어후 | 성씨김
- 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후 곽 남자 서울특별시 길림성(吉林省) 반석현(磐石县) 알수없음 보산공사고산대대북선대 2 2 후, 고치, 끝, 필...대표표제어후 | 성씨곽
- 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후 최 여자 경상남도 창원시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연변 연변전관태 2 2 후, 오빠, 전쟁때, 월남,대표표제어후 | 성씨최
- 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후 최 여자 경상북도 영주시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철로촌료청 3 3 후, 최씨, 고향친구, 홍씨...대표표제어후 | 성씨최
구술자료(4,280)
- 사후 복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는 궁리의 전(前)이장 김형기씨의 안내로 고희상씨 집을 방문하여 그집 사랑에서 조사를 했다. 고희상씨는 고령에도 불구하고 건강하였으며 구연도 똑똑했다.*조사일시1979-08-13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 제보자고희상
- 후실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 노래에 이어 계속 불렀다.*조사일시1982-01-18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 제보자김명옥
- 후경전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양희찬)가 길가에서 제보자를 만나 이 마을의 유래를 듣고 싶다고 하니 길가에 있던 여러 사람이 모여들어 고래 이야기를 하자 그는 곧 이야기를 시작했다. 그가 가장 확실하게 잘 알고 있다는 듯이 길가에 서서 자신만만하게 태도를 취했다. *조사일시19791218 | 조사장소충청남도 당진군 합덕읍 | 제보자양호석
- 박상후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무계도 박상후 종교‧철학 행사 현대 년 월 일 HN_SF_박상후.1.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무계도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윤후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윤후정 윤후정 역사 인물 현대 함남 안변군 구술자료 - 자작농 가정에서 태어나 함남 안변 신구술자윤후정 | 직업이화여대 명예총장 | 지역함경도
기초학문(4,142)
- 남한 지역의 홀로세 중후기 기후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정재, 게재일 : 201366495 박정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3 남한 지역의 홀로세 중후기 기후변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조선 후기 성호학파의 입후설(立後說)과 친족의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2291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화연구원 2014 조선 후기 성호학파의 입후설(立後說)과 친족의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14
- 朝鮮後期 宗廟制度 變遷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지두환, 게재일 : 200410835 지두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4 朝鮮後期 宗廟制度 變遷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유형논문 | 게재일2004
- [明成聖后御筆]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기대, 게재일 : 201242288 이기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明成聖后御筆]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신흠의 산문과 전후칠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우정, 게재일 : 201039931 김우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10 신흠의 산문과 전후칠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45,787)
- 雨後 (비온 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石田富造 약력미상=tom=とみ경성일보 전속작가작품명_원문雨後 | 부제_원문光熙門外にて | 부제_한글광희문 밖에서 | 게재일19170813 | 게재판조 | 게재면01 | 게재단4-5
- 雨後 (우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雨後 | 기사명_한글우후 | 게재일19180716 | 게재판조 | 게재면01 | 게재단3-5
- 雨後 (비온 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雨後 | 부제_원문麻浦にて | 부제_한글마포에서 | 게재일19190611 | 게재판조 | 게재면03 | 게재단1-3
- 午後 (오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午後 | 게재일19200214 | 게재판무 | 게재면04 | 게재단1-3
- 午後 (오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午後 | 게재일19200409 | 게재판무 | 게재면04 | 게재단1-2
멀티미디어(4,464)
- 조선의 마지막 왕 순종의 비 해평윤씨가 창덕궁에서 심장마비로 별세하여, 장례식이 진행되는 여러 장면들을 보여주는 영상.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6년 2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15세기 후반 역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역원 분포도 점묘도 전국 도 1:4,000,000 15세기 후반 역/도계 DEM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행정_033_15세기_후반_역 행정_033_15세기_후반_역.j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박정희 대통령이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수원지역에 출마한 민주공화당의 이병희 후보의 찬조연설에 나섰다자료구분대한뉴스KC | 제작년도1971년 5월 15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18세기 중반 후박나무[厚朴]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932_18세기_중반_후박나무[厚朴] 경제_1932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7세기 중반 후박(厚朴)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7세기 중반 O/X 없음 동국여지지 없음 경제_1359_17세기_중반_후박(厚朴) 경제_1359_17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동국여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연구결과보고서(11)
-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대한제국 전후 시기의 정치 리더 연구 [대한제국 전후 시기의 정치 리더 연구 | 서경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조선후기 왕실 사적 정비 연구 결과보고서 [조선후기 왕실 사적 정비 연구 | 경상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조선후기 여항 문학 자료 수집·해제 및 DB구축 [조선후기 여항 문학 자료 수집·해제 및 DB구축 | 성균관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조선후기 야담집(野談集)의 교감 및 정본화 [조선후기 야담집(野談集)의 교감 및 정본화 | 동국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9,558)
- 후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후기 후기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강원교육
- 김후선;金後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5181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10年 1935―09―30 342면 김후선;金後善 조선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후선;金後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5206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11年 1936―09―30 334면 김후선;金後善 조선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민후;洪敏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701 남한 경성 경복공립중학교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65면 홍민후;洪敏厚 경성부 창성정 149 제9회 193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계후;洪季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909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46면 홍계후;洪季厚 京城;경성부 어성동 149 재학생 제4학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401)
-
조선후기 문헌
한국 학술 번역사업 | George Kallander | Syracuse University | 2013 | 국외 | 해외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
조선후기 왕실 사적 정비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윤정 | 경상대학교 | 2007 | 국내 | 경남
-
조선후기 왕실서책의 형태와 보존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계영 | 서울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대한제국 전후 시기의 정치 리더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희주 | 서경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8,537)
-
후 / 後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편지를 쓰다 여백이 없어서 편지의 후면에 쓴 경우 그 첫행의 앞에 표시하는 방법.
-
감후 / 監候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기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서운관의 정9품 관직. 서운관은 천문·역수·측후·각루의 일을 맡아보았는데, 국초에는 태복감과 태사국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며, 태복감은 천문·역수를, 태사국은 측후·각루를 관장하였다.
-
기후 / 氣候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어. 몸과 마음의 형편이라는 뜻으로, 웃어른께 올리는 편지에서 문안할 때 쓰는 용어.
-
우후 / 虞候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도 절도사에 소속된 관직. 남병사를 제외한 전임절도사 밑에 두었으며, 병마절도사에 소속된 종3품의 병마우후와 수군절도사에 소속된 정4품의 수군우후로 구분되고, 임기는 720일(2년)이다. 우후는 절도사를 도와 군기에 참여하고 군령을 전달하며 군사를 지휘
-
이후 / 李垕 [종교·철학/유학]
1611(광해군 3)∼1668(현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종린 증손, 할아버지는 수, 아버지는 형윤, 어머니는 최행의 딸이다. 1644년(인조 22)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검열을 거쳐 1650년(효종 1) 지평으로 춘추관기주관이 되어『인조실록』의 편찬에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