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효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7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49)
사전(3,117)
- 효종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인조의 아들이다. 호란 때에 승지 한흥일을 따라 강화로 들어간다. 강화로 적이 공격해 오자 김경징과 함께 진지를 순찰하고 군사를 수습하고 방비할 계책을 세우려 하나 군사가 다 도망쳐 어쩔 수 없이 성을 지키기로 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효종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조선의 임금이다. 젊은 벼슬아치 김복상을 매우 총애하여 항상 곁에두고 여러 일들을 맡긴다. 어느 날, 달빛을 구경하러 나섰다가 애련정에서 김복상과 궁녀가술에 취하여 머리를 나란히 한 채 다정하게 잠들어 있는 모습을 보게 된다. 이에 처음에는놀랐으나 옷 한 폭을 덮어주고...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효종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인조의 둘째 아들로, 8살에 봉림대군이 된다. 20여 살 되던해 청나라가 수십만의 군사를 이끌고 쳐들어온다. 강화도에 피난 가 있던 중 오달제, 홍익한, 윤집, 김상헌, 이명한 등 당시 주전파, 그리고 소현세자와 함께 인질이 되어 청의수도인 심양으로 끌려간다. 십 년을...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효종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효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19(광해군 11)∼1659(효종 10). 조선 제17대 왕. [개설] 재위 1649∼1659.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이름은 호(淏)이다. 자는 정연(靜淵)이다. 호는 죽오(竹梧)이다. 인조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인열왕후(仁...이칭별칭 정연(靜淵)| 죽오(竹梧)|봉림대군
단행본(1)
- 한국신종교사전 [한국신종교사전(韓國新宗敎事典) | 원광대학교]저자 : 한국신종교사전편찬위원회 ... | 출판사 : 도서출판 한맘 | 출판일 : 20180625근대에 발생한 한국 신종교들은 근대 대중·민중의 삶을 읽어낼 수 있고, 현대 신종교들은 또 다른 종교문화의 삶을 읽어낼 수 있는 재료가 되기에 중요하다. 근현대 한국 종교문화의 흐름은 먼저 유·불·도 삼교를 주축으로 하는 전통 종교문화의 근현대적인 변모를 담고 있다. ...
고서·고문서(2,153)
- 효종국휼등록(孝宗國恤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659년 5월에서 1661년 7월까지 진행된 효종국상에서 이 책은 1660년 2월 소상(=죽은 지 1년만에 지내는 제사)에서 대상(=죽은 지 2년만에 지내는 제사), 담제(=죽은 지 27개월만에 지내는 제사)를 준비하는 시점까지 국상 절차가 실려 있다. 효종 국상의...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經史門9_孝宗理宗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孝宗理宗 趙宋之德昭、德芳, 千古之至憤, 及孝、理兩宗, 天道可證. 高宗 紹興元年, 婁寅亮乞選太祖後以備儲嗣, 帝感其言, 選岐王 德芳六世孫伯琮, 養之宮中, 是爲孝宗. 歷光、寧二世, 而又無嗣, 理宗從閭巷末裔, 入承大統, 卽燕王 德昭之後也. 二宗之立, 婁寅亮之功也. 前此汴京之...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효종빈전혼전도감의궤(孝宗殯殿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효종(1619~1659)의 국장 때 빈전과 혼전의 설치와 운영에 관해 기록한 책이다. 효종은 조선의 제17대 왕으로서, 이름은 호(淏)이다. 인조(仁祖)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인열왕후(仁烈王后)이며, 비는 장유(張維)의 딸 인선왕후(仁宣王后)이다. 1626년(인...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효종국장도감의궤(孝宗國葬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659년(효종 10) 효종(孝宗, 1619~1659)의 국장(國葬) 과정을 기록한 의궤로, 1659년 국장도감에서 편찬하였다. 효종은 인조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인열왕후(仁烈王后)이며, 비는 우의정 장유(張維)의 딸 인선왕후(仁宣王后)이다. 1626년(인조 4)...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효종부묘도감의궤(孝宗祔廟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효종(1619~1659)의 신주(神主)를 종묘(宗廟)에 부묘(祔廟)한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효종은 조선의 제17대 왕으로서, 이름은 호(淏)이다. 인조(仁祖)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인열왕후(仁烈王后)이며, 비는 장유(張維)의 딸 인선왕후(仁宣王后)이다. 162...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구술자료(4)
- 한효종과 그의 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배 큰 강훈장’의 이야기가 끝나고, 제보자 댁에서 차려 준 점심을 먹고 난 후, 곧바로 시작된 이야기다. 한효종에 대한 얘기가 여러 편으로 이어지는데, 이를 구분하여 적는다. *조사일시1981-05-11 | 조사장소제주도 서귀포시 중문동 | 제보자김재현
- 효종대왕의 인재등용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재미있는 얘기 아무거나 좋다며 부탁하자, 망설이다가 청중이 제보자에게 “웃으게 소리 없냐?”며 권하자 이야기를 시작했다. *조사일시1984-03-26 | 조사장소전라남도 승주군 주암면 | 제보자고광옥
- 효종대왕과 지관(地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가 끝나서 조사자가 제보자의 장수비결을 물었더니 새벽 4시에 일어나 전신을 21번, 49번, 108번 등, 각 부위별로 마찰운동을 한다고 했다. 운동시간은 1시간이 걸리며 하루라도 빠지는 날엔 그 날 생활하기에 불편을 느낀다고 했다. 잠시 후 조사자가 이야기...조사일시1985-03-24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감곡면 | 제보자전병옥
- 효종대왕의 잠행(潛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오전의 제보자였던 정난수씨가 박수남씨가 이야기를 잘한다고 했던 말에 따라서 오후 2시경에 찾아 갔다. 마침 집에 계시지 않아서 기다리고 있자 부인되시는 분이 모셔와서 찾아온 목적을 설명하고 오전에 거둔 성과에 대해서도 약간 언급해드렸다. 그리고 제보자가 책을 많이 ...조사일시1982-07-31 | 조사장소전라북도 군산시 삼학동 | 제보자박수남
기초학문(10)
- 효종 시문학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현지, 게재일 : 201545143 이현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고전학회 2015 효종 시문학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15
- 1659년(孝宗 10) 孝宗의 昇遐와 [孝宗]殯殿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새롬, 게재일 : 200402258 유새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659년(孝宗 10) 孝宗의 昇遐와 [孝宗]殯殿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4
- 1661년(顯宗 2) 孝宗의 祔廟와《孝宗祔廟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상태, 게재일 : 200512039 김상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661년(顯宗 2) 孝宗의 祔廟와《孝宗祔廟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05
- 1740년(영조 16) 孝宗 諡號 加上과《[孝宗]加上諡號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경례, 게재일 : 200401459 김경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740년(영조 16) 孝宗 諡號 加上과《[孝宗]加上諡號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유형논문 | 게재일2004
- 1645년(인조 23) 왕세자 책봉과《[孝宗]王世子及嬪宮冊禮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501405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1645년(인조 23) 왕세자 책봉과《[孝宗]王世子及嬪宮冊禮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39)
- 강원로동신문_1947_0815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947년 8월 15일 373 한성(韓星) 원산시 중앙리 44 강원로동신문 민족 해방의 효종 울린 역사의 8·15 두 돌!! 8·15 민족 해방의 효종 울린 역사의 8·15 두 돌!!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0815_02 | 날짜1947년 8월 15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 김견익전(金堅益傳)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경업, 효종대왕 서우번역문.pdf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법화영험전(法華靈驗傳) 8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법화영험전(法華靈驗傳) 8 法華靈驗傳 법화영험전 형태서지 了圓 錄 高麗 韓國 木版本 寶城 開興寺 1653年(孝宗 4) 2卷 1冊 H6, p.54...대표표제어법화영험전(法華靈驗傳) 8 | 대표서명法華靈驗傳 | 한글서명법화영험전 | 서지형태형태서지
- 보살계본지범요기(菩薩戒本持犯要記) 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보살계본지범요기(菩薩戒本持犯要記) 5 菩薩戒本持犯要記 보살계본지범요기 형태서지 菩薩戒本持犯要記 元曉 述 新羅 韓國 木版本 1654年(孝宗 5) 1冊 ...대표표제어보살계본지범요기(菩薩戒本持犯要記) 5 | 대표서명菩薩戒本持犯要記 | 한글서명보살계본지범요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범망경고적기(梵網經古迹記) 1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범망경고적기(梵網經古迹記) 14 梵網經古迹記 범망경고적기 형태서지 太賢 著 新羅 韓國 1897年(孝宗 1)(?) 卷下 1冊 T40, p.689. ; H3,...대표표제어범망경고적기(梵網經古迹記) 14 | 대표서명梵網經古迹記 | 한글서명범망경고적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2)
- 19세기 중반 진보(鎭堡)의 축조 시기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진보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고려 공민왕~세조/ 선~인 / 효종~정조 없음 대동지지 없음 행정_136_19세기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대동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9세기 중반 영(營)의 축조 시기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영아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고려 공민왕~세조/선조~인조/효종~정조 없음 대동지지 없음 행정_141_19세기_중반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대동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23)
- 박효종;朴孝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483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94면 박효종;朴孝鍾 개성부 지정 455 제13회 193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손효종;孫孝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9831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3면 손효종;孫孝鍾 제4회 1944-03-20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효종;李孝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3369 남한 경성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1-19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 17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14) 제14회 123명(1918년 3월 졸업) 이효종;李孝鍾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효종;崔涍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1487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42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30) 제28회 153명(1932년 3월 졸업) 최효종;崔涍鍾 (주소 및...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효종;李孝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0201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17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14) 제14회 123명(1918년 3월 졸업) 이효종;李孝鍾 (주소 및...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61)
-
효종 / 孝宗 [정치·법제/법제·행정]
1619(광해군 11)∼1659(효종 10). 조선 제17대 왕. 재위기간은 1649∼1659. 본관은 전주이다. 이름은 호(淏)이다. 자는 정연(靜淵), 호는 죽오(竹梧)이다. 인조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인열왕후(仁烈王后)이다. 비는 우의정 장유의 딸 인선왕
-
대한불교원효종 / 大韓佛敎元曉宗 [종교·철학/불교]
경담(慶潭)이 만든 불교 종단의 일종. 1963년 경담(慶潭)이 경상북도 경주에서 창립하였다. 신라의 원효를 종조로 삼는다. 1977년 12월 29일 대한불교원효종포교원애서 대한불교원효종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본사는 서울 종로구 창신동에 있다. 원효의 <금강삼매경론>
-
효종시호등망단 / 孝宗諡號等望單 [정치·법제]
조선의 제17대 국왕 효종이 승하한 뒤 시호, 묘호, 전호, 능호를 의정하기 위해 1659년(현종 즉위년) 5월 빈청에서 올린 대행대왕시호등 망단. 시호를 '의문장무신성현인(宜文章武神聖顯仁)'으로, 묘호를 '효종(孝宗)'으로, 전호를 '경모(景慕)'로, 능호를 '영릉
-
효종대왕가상시호망단 / 孝宗大王加上諡號望單 [정치·법제]
효종에게 가상 시호를 의정하기 위해 1740년(영조 16) 5월 빈청에서 올린 시호 망단. 이 망단에서 의정한 가상 시호는 '명의정덕(明義正德)' 네 글자이다. 이 네 글자를 종전의 시호에 덧붙여서 단망의 형태로 올리고 영조의 재가를 받았다.
-
현철 / 玄哲 [예술·체육/연극]
1891-1965. 근대극운동의 선구자. 본명은 희운(僖運). 필명은 현당(玄堂)·효종(曉鍾)·효종생(曉鍾生)·세류옹(世瘤翁)·해암(海巖). 부산 출신. 개화기에 일본어 역관을 지낼 만큼 매우 개화가 빠른 집안 출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