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효력부위” 에 대한 검색결과 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르러 로 개칭되었다. 정9품 관직으로는 세마(洗馬)‧사용(司勇)‧수문장 등이 있다. 이러한 정9품관에게는 1438년에 정비된 녹과(祿科)에 의거하여 실직(實職)에 따라 1년에 네 차례에 걸쳐 모두 조미(糙米 : 벼를 매갈아서 만든 쌀) 10석, 전미(田米...
  • 사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정9품 관직. [내용] 관계상으로는 ()라 별칭되었다. 고려 말의 위(尉)와 정(正)이 1394년(태조 3)에는 대장(隊長)과 대부(隊副)로 개칭되고, 1436년(세종 18)에 사용으로 개칭되었으며,...
    이칭별칭효력부위(?力副尉)
  • 유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9품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정9품 종사랑(從仕郎)‧()와 종9품 장사랑(將仕郎)‧전력부위(展力副尉)의 적처(嫡妻)에게 봉작된 작호이다. 중국 하(夏)‧은(殷)‧주(周...
  • 진한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또한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아 경사(經史)에 통하였고 사장(詞章)에도 능하였다. 문과(文科)에 두 번 응시하였으나 실패한 후 무예(武藝)를 닦았다. 1583년(선조 16) 무과(武科)에 합격, ()가 되어 북변(北邊)에 배치되었다. 그는 말을...
    이칭별칭 실혜(實兮)| 극재(克齋)
  • 유백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92(성종 23)∼?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군옥(君玉) 또는 중옥(仲玉), 호는 정산(鼎山). 진주 출신. 아버지는 수창(壽昌)이다. 1525년(중종 20)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
    이칭별칭 중옥(仲玉)| 정산(鼎山)

고서·고문서(44)

  • 1585년 박광춘(朴光春)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585년(선조18) 7월에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권지훈련원봉사박광춘을 사도진관마도수군권관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영암 밀성박씨 박은식
  • 1577년 황진(黃進)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577년 6월에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황진을 정9품인 로 임명하는 교첩이다. 황진은 전년 무과 병과 16위로 급제하였기 때문에 관례에 의하여 1계가 오른 를 받았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 1573년 윤강중(尹剛中) 교첩(敎牒)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3년(宣祖6) 10월 4일에 임금의 명을 병조에서 받들어 윤강중을 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592년 김견(金堅)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592년(선조25)7월에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당항포전투에 공이 있는 밀양김씨 김견을 선전관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영암 서호 밀양김씨 고반재
  • 1606년 윤안중(尹安中)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06년4월 16일에 병조에서 선조의 명을 받들어 해남에 사는 예차내금위근력부위윤안중을 행충좌위부사용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무안 여흥민씨 민종기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정9품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무산계는 정하여지지 않았다. 그런데 무산계는 1436년(세종 18) 처음으로 진무부위(振武副尉)를 설치하였다가 ≪경국대전≫에 이르러 로 개칭되었다. 정9품 관

  • 사용 / 司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정9품 관직. 고려 말의 위(尉)와 정(正)이 1394년(태조 3)에는 대장(隊長)과 대부(隊副)로 개칭되고, 1436년(세종 18)에 사용으로 개칭되었으며, 1467년(세조 12)의 관제개혁에 의하여 정9품으로 법제화되었다. ≪경국대전≫ 당시는 정원

  • 유인 / 孺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9품 작호. 문무관 정9품 종사랑(從仕郎)·()와 종9품 장사랑(將仕郎)·전력부위(展力副尉)의 적처에게 봉작된 작호이다. ≪경국대전≫에 정9품과 종9품의 적처에게 봉하여진 봉호로 격하되었다. 이 칭호는 일반백성

  • 정구품 / 正九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전≫에 ()로 개칭되어 수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