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효곡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9)
- 고인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임명되었으나, 스스로 관직을 그만두었다. 1645년(인조 23) 왕이 80세가 넘은 신하들에게 가자(加資 : 품계나 관직을 올려줌)하매, 81세로 통정대부에 오르고 용양위부호군(龍?衛副護軍)이 되었다. 상주 효곡서원(孝谷書院)에 제향되었다.이칭별칭 선승(善承)| 월봉(月峯)
- 효곡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효곡서원 경북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에 있는 서원. 1685년(숙종 11)에 송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뒤 김충, 고인계, 김광두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 배향과 지방 교육을 담당하여왔다....
- 김광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經世)ㆍ이전(李㙉)ㆍ이준(李埈)ㆍ전식(全湜)ㆍ조정(趙靖) 등과 같이 함창(咸昌)ㆍ황령(黃嶺) 등지에서 창의하여 의병을 모집, 왜군과 맞서 싸웠다. 1606년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효곡서원(孝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영남인물고(嶺南人物...이칭별칭 여우(汝遇)| 일묵재(一默齋)
- 김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성(司成) 등을 역임하고, 1571년(선조 4) 선공감정(繕工監正)이 되었다. 성품이 청렴하고 간소하여 관직에 있는 동안 권력 있는 자들에게 이부(移赴 : 옮겨가 붙음)하지 않았다. 상주 효곡서원(孝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서대이문록(西臺異聞錄)』이 있...이칭별칭 화길(和吉)| 서대(西臺)
- 월봉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198수, 권3에 서(書) 33편, 권4에 제문 10편, 서(序) 2편, 묘지 2편, 묘갈 2편, 행록 4편, 권5에 부록으로 행장‧묘비명‧효곡서원봉안문(孝谷書院奉安文)‧죽동리사봉안문(竹洞里社奉安文) 등이 수...
고서·고문서(5)
- 우곡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수록되어 있다. 祭文 6 李㙉‧李埈‧康應哲 등 3명이 지은 祭文이 수록되어 있다. 孝谷書院奉安文 8 蔡獻徵(1648~1726)이 지은 孝谷書院奉安文이다. 1685년(숙종 11)愚谷宋亮을 배향한 世德祠로 창건하였으나 뒤에 西臺金冲과 月峯高仁繼를 추배하여 1735년...분야문학 | 유형문헌
- 정와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趙靖 이 도남서원 원장으로 있을 때, 당시 명류들과 1622년(광해군 14) 7월 보름에 뱃놀이 하면서 지은 시를 기록한 것이다. 書孝院會中聯名錄後 3 진사 黃應直의 발의로 고을에서 칠십세가 넘은 사람들이 孝谷書院에서 모임을 가졌는데, 당시 모인 사람들의 인명록의 뒤...분야문학 | 유형문헌
- 월봉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祭文 6 竹林修稧所儒生, 近嵒書堂儒生, 道南書院儒 生, 鄕堂 등이 저자를 추모하며 지은 祭文이다. 孝谷書院奉安文 7 李增曄이 孝谷書院에 저자의 위패를 봉안 하면서 지은 글이다. 常享祝文 8 李增曄은 저자에 대하여 “바탕이 두텁고 자질이 아름다우며 행실이 높고 학...분야문학 | 유형문헌
- 사서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쳐, 1645년(인조 23) 龍驤衛 副護軍이 되었다. 尙州 孝谷書院에 배향되었다. 홍호의 본관은 缶溪, 자는 叔京, 호는 無住‧東 洛이고, 경북 聞慶출신이다. 鄭經世의 문인으 로, 1606년(선조 39)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하였다. 李适의 亂이 일어났을 때 정경세의...분야문학 | 유형문헌
- 장원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기록하였고,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켰던 용기를 찬양하는 내용이 있다. 일묵재는 본관은 상주. 字는 汝遇로 柳成龍의 문인이며 임진왜란 당시 鄭經世등과 의병을 모집하여 싸우기도 하였다. 1606년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孝谷書院에 제향되었다. 誄文 誄姜萬超(逴永)文(1...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효곡서원 / 孝谷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에 있는 서원. 1685년(숙종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량(宋亮)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김충(金沖)·고인계(高仁繼)·김광두(金光斗)를 추가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다. 18
-
김광두 / 金光斗 [종교·철학/유학]
1562(명종 17)∼1608(선조 41). 조선 중기의 문신. 유성룡의 문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에 정경세·이전·이준·전식·조정 등과 같이 함창·황령 등지에서 창의하여 의병을 모집, 왜군과 맞서 싸웠다. 1606년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효곡서원에
-
고인계 / 高仁繼 [종교·철학/유학]
양모 박씨를 극진히 봉양하였다. 1605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성균관의 학유 및 박사가 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 후 성균관전적·형조좌랑·형조정랑·충청도도사·예안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상주 효곡서원에 제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