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효경언해” 에 대한 검색결과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손케이가쿠문고(尊經閣文庫) 소장본에 ‘宣賜之記’라는 주인(朱印)과 ‘萬曆十八年(1590) 九月日內賜云云’의 내사기가 있기 때문이다. 책 끝에 1589년 6월 유성룡(柳成龍)의 ‘효경대의 발(跋)’이 있는데, 그 내용은 ≪효경대의≫의 간행과 ≪≫의 경위에...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유교/국어학 문헌 한국 조선 선조 성낙수 박종국 2014 홍문관 1590년(선조 23) 1책 경진자(庚辰字) 일본 도쿄 손케이가쿠문고[...
  • 효경(孝經)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유성룡(柳成龍)의 발문이 있는 후간본(後刊本)을 중심으로 삼았고, 『()』가 간행되어 널리 유포되었다. 조선 후기에 일본에서는 쓰시마에서 사용되는 물품이나 에도막부에서 요청한 각종 물품을 조선 측에 요구하였고, 오랫동안 외교적이거나 무역의 성격을 띤...
    유형분류문헌
  • 효경구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간본으로 추정된다. 이 『효경』은 18장으로 된 이른바 『금문효경(今文孝經)』이다. 조선시대에 통용되던 『효경대의(孝經大義)』와 『』의 본문은 이 『금문효경』을 주자(朱子)가 손질한 것으로, 경(經) 1장과 전(傳) 14장으로 되어 있어서 내용이 다르다....
  • 효경대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90) 癸酉‧庚辰‧戊午字에 대하여(白麟, 도협월보 8-1, 1967) 孝經大義大字考(尹炳泰, 도협월보 15-10, 1974) 庚辰字本と小學諺解(田川孝三, 朝鮮學報 27, 1963)

고서·고문서(4)

주제어사전(2)

  • / [언어/언어/문자]

    조선 선조 때 홍문관에서 『효경대의(孝經大義)』를 언해한 책. 책 끝에 1589년 6월 유성룡(柳成龍)의 ‘효경대의 발(跋)’이 있는데, 그 내용은 『효경대의』의 간행과 『』의 경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효경』의 가르침이 오랫동안 돌보아지지

  • 효경구결 / 孝經口訣 [언어/언어/문자]

    『금문효경(今文孝經)』이다. 조선시대에 통용되던 『효경대의(孝經大義)』와 『』의 본문은 이 『금문효경』을 주자(朱子)가 손질한 것으로, 경(經) 1장과 전(傳) 14장으로 되어 있어서 내용이 다르다. 구결도 『』와 같지 않다. 그러므로 이 책은 우리나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