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회화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5)
사전(50)
- 회화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산 괴정동의 회화나무 콩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모양이 둥글고 온화하여 중국에서는 '學者樹'로 취급하여 선비가 살던 옛 집이나 무덤 주위에 즐겨 심었고 우리 나라 향교나 궁궐, 사찰 경내에서도 대거목을 볼 수 있다. 한방에...
- 송호회화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남포직할시 천리마구역 강철동에 있는 회화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58호. 회화나무는 강선역에서 서남쪽으로 약 3㎞ 정도 떨어진 송호마을 서남쪽의 낮은 언덕에 있다. 서쪽과 남쪽으로는 송호논벌이 펼쳐져 있고 동남...
- 속후회화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신포시 속후리에 있는 회화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257호. 회화나무는 속후역에서 동쪽으로 약 200m 떨어진 소년단 야영소로 가는 길옆에 있다. 회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충적토이고 모래흙...
- 용악산회화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양특별시 만경대구역 용봉리에 있는 회화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22호. 회화나무는 용악산의 남쪽 중턱에 있는 법운암 앞에서 자라고 있다. 나무 옆에는 북한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느티나무‧참...
- 개성회화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개성직할시 북안동에 있는 회화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383호. 회화나무는 개성시 행정 경제위원회 뒤 청사 앞에서 자라고 있다. 회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화강암 지대에 생긴 밤색 토양이고 석비레 모래흙이다...
고서·고문서(12)
- 工事録1(李王邸の部)昭和3~5年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성 1928년 5월 3일에 동경의 이왕(영친왕) 저택 정원에 옮겨 심은 회화나무와 소나무 등의 종류와 수량이다. 이왕무 2014. 12. 05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4. 12. 05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54_355_061 1554년3월 ○당(堂)에 머물렀다 1554년 3월 2일 임인, 맑고 햇빛이 맑음. ○당(堂)에 머물렀다. 회화나무 열매[槐子] 3개를 먹었고, 아침에는 솔가루[松末]를 먹었다. ○아내가 여기에 머물렀다. ○천택(天澤)이 《송사(...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손자를 돌보며 당(堂)에서 잤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는데, 아이와 나누어 먹었다. 지팡이를 짚고 나가서 천방(川防)을 돌며 봄 경치를 감상했다. 동문 밖으로 가서 회화나무에 기대어 냇물을 구경했다. 사람을 보내 지(池) 생(生) 등에게 안부를 물었더니, 방금 목사에게 들어가 술을 마시고 있다고 했다. 성저(城底)를 지나...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내 문안했고, 사우(士遇)는 편지로 문안했다. 답장으로 다시 가고 싶다는 뜻을 보냈다. ○하가(下家)에 울타리를 쳤다. ○회화나무 열매[槐實]를 내어 씻었다. 十一日壬午, 風起, 午後雨作, 夜不止。 十一日壬午, 風起, 午後雨作, 夜不止。 ○留堂。服松末。○權參奉叔...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아버님의 기일이므로 당(堂)에 제상을 차렸으며, 현배(玄培)‧수기(壽祺) 등이 제사를 도왔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바람에 향복이 미간(眉間)을 부딪쳐서 부어서 얼굴의 정수리가 오리의 머리 같이 되었다. 우습다. ○노성(老成)에게 세화(歲畵)에 채색하고, 단목(丹木)과 회화나무 꽃[槐花]을 다리라고 했다. ○신시(申時)오후 3시에서 5시까지에 정월절에 들기에 춘시(春詩)를 붙이는 것...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신문·잡지(3)
- 自强會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대한강회에셔 오토오일에 쳐음으로 통상회열 터인대 그쳐소 뎐동회화나무골선젼도가로 작뎡엿다더라게재일1906년 4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작일에 별슌검이 북셔소격셔골 쳔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에 별슌검이 북셔소격셔골 쳔가 회화나무골목 안에셔 쥬젼쟈 슈삼명을 잡아 긔계와 돈을 다경부로 압부엿더라게재일1900년 9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東儂 고목화 [枯木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갑동이가 박부장압흐로 밧삭갓가이오더니 손을들어 가라치며 「갑동」령감님 뎌긔 보이가 우리 뒤산갓슴니다 이 아헤 풀으스름야 일산갓흔것이 회화나무가 안이온닛가 「박부장」오냐 너의이 뎌동리다 어셔가자 「갑동」에그 뎌긔뵈임니다 동리 가온 그즁놉고 큰집이 우리...게재일1907년 6월 29일 | 기사분류기타
주제어사전(6)
-
회화나무 / Sophora japonica L. [과학/식물]
콩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학명은 Sophora japonica L.이다. 높이는 25m에 달하고 소지는 녹색이고 자르면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15∼40개의 소엽으로 된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난상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는 2.3∼6㎝이다. 꽃은 8
-
개성회화나무 / 開城槐花─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개성직할시 북안동에 있는 회화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383호. 회화나무는 개성시 행정 경제위원회 뒤 청사 앞에서 자라고 있다. 회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화강암 지대에 생긴 밤색 토양이고 석비레 모래흙이다. 나무는 1830년경에 심은 것이라고
-
속후회화나무 / 俗厚─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신포시 속후리에 있는 회화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257호. 회화나무는 속후역에서 동쪽으로 약 200m 떨어진 소년단 야영소로 가는 길옆에 있다. 회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충적토이고 모래흙이며 습기와 거름기는 보통이다. 이 지역의 연평
-
송호회화나무 / 松湖─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남포직할시 천리마구역 강철동에 있는 회화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58호. 회화나무는 강선역에서 서남쪽으로 약 3㎞ 정도 떨어진 송호마을 서남쪽의 낮은 언덕에 있다. 서쪽과 남쪽으로는 송호논벌이 펼쳐져 있고 동남쪽으로는 남포로 나가는 고속도로와 대동강
-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 / 唐津三月里─ [과학/식물]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삼월리에 있는 회화나무. 천연기념물 제317호. 높이 18.5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5.54m인 노거수로서 가지가 균형있게 발달되어 수관(樹冠: 나무의 줄기 위에 있어 많은 가지가 달려 있는 부분)이 아름답다. 나무의 나이는 700년 정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