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회은집”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선고유사(先考遺事)」는 아버지 남구만(南九萬)의 생애를 자세하게 기록한 것이다. 조선 후기의 학자 남학명의 시문집. 간행 연대 미상. 규장각도서. ...
  • TD_L14_S_0133 恭靖 인물 太祖七年戊寅, 庚辰 南鶴鳴 恭靖大王, 太宗, 安宗, 定宗 S_18_01_61 성호사설 18권 1장 61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8권 1장 6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남이성(南二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신광한(申光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陰崖集)』 『학포집(學圃集)』 『정암집(靜菴集)』 『월연집(月淵集)』 『충암집(冲庵集)』 『()』 『송재집(松齋集)』 『규암집(圭菴集)』 『회재집(晦齋集)』 『호음잡고(湖陰雜稿)...

단행본(1)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8세기) 15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1.08.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活山集 黃皐集 黃坡集 晦窩詩稿 悔窩集 悔尤集 悔軒集 后溪集 後溪集

고서·고문서(5)

  •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卷一 詩 二月大風-己酉, 悼安載卿-厚相, 送春, 寄朴弟士元-泰輔-樂郊郊居-庚戌, 二月雨雪大下次杜工部晩晴詩韻, 廣津別墅題磐石, 同士元出廣津次其韻, 暮春歸結城龜山田廬, 李通津-敏采-丈一醉不起, 淸州秋日憶廣津, 過驪州距驪江十餘里而悤悤不暇遊下馬坐溪邊題詩沈流-辛亥, 病臥淸州...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經史門1_恭靖權署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恭靖權署 昔我恭靖大王, 於太祖七年戊寅受禪, 庚辰封太宗爲世子. 太宗之於恭靖, 昆弟也. 當封世弟, 而謂之世子, 蓋恭靖雖曰受禪, 其實權署而已故然也. 今《列聖誌狀》中云“權署國事”, 子孫屬籍亦止止: 와세다대본에는 ‘上’으로 되어 있다. 三世, 可以見矣. 南鶴鳴《》云: “...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篇七]論史門四_恭靖權署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에는 ‘正’으로 되어 있다.三世, 可以見矣. 南鶴鳴《》云: “廟號安宗, 後來無人知者, 近世更上廟號曰定宗.” 其果然否?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新迎吏ㆍ隷至,其接之也,宜莊ㆍ和ㆍ簡ㆍ默。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吏,私通本府曰:“年少學士,不言不笑,兀然端坐,其中不可測。” 一時傳誦,以此爲錦洲畵像贊。【《》】 飭子弟ㆍ奴婢,勿敢與吏ㆍ隷接語,申嚴約束。○朝謁旣畢,卽刻放還邸家,勿令復來。厥明亦然,雖一箇通引,【卽侍童】 亦無爲也。【留之,則閨門動靜,先自猜度了,遠來之人,亦合休息】 ○召首吏約曰:“...
    권차명牧民心書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남학명의 시문집. 5권 2책. 활자본. 간행연도 미상. 서문과 발문이 없다. 권1에 시 103수, 부 1편, 권2에 기 17편, 서 2편, 제발 3편, 제문 4편, 권3에 서 17편, 잡문 3편, 권4에 행장 1편, 유사 8편, 묘문 5편, 권5에 잡

  • 남학명 / 南鶴鳴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654∼1722). 소론의 영수로 영의정을 지낸 남구만의 아들이다. 천거로 주부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학문연구에 전념했다. 문집으로《》·《회은잡지》, 편저로《와유록》 등이 있다. 자녀로는《몽예집》을 남긴 남극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