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회령개시” 에 대한 검색결과 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

사전(14)

  • 단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여진족과의 공개무역이었던 () 한 곳에만 열렸던 무역. [내용] 단개시(單開市)라고도 하였다. 이는 한 곳에서만 개장되는 무역으로 매 격년, 즉 자(子)‧인(寅)‧진(辰)‧오(午)‧신(申)‧술(戌)년에 행하여졌다...
    이칭별칭단개시(單開市)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문휘고(同文彙考)』 「조선후기(朝鮮後期) 대청무역(對淸貿易)의 전개과정(展開過程)」(유승주,『백산학보』8, 1970) 「부연사행(赴燕使行)의 경제적일고(經濟的一考)」(이원순,『역사교육』7, 1963) 「に就いで...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개시(開市) 북관개시(北關開市), 경원개시(慶源開市), 변시무역(邊市貿易), 교역인마정식(交易人馬定式), 함경도회원개시정례(咸鏡道會源開市定例) 경제무역|정치/외교/외교사안|경제/교통/육운|경제/산업/상업...
    상위어개시(開市) | 관련어북관개시(北關開市), 경원개시(慶源開市), 변시무역(邊市貿易), 교역인마정식(交易人馬定式), 함경도회원개시정례(咸鏡道會源開市定例)
  • 경원개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농(籠)‧주방구‧호피‧해삼‧모발‧재목 등이었다. 경원개시는 ()와 함께 북관개시(北關開市)라 하였다. 『통문관지(通文館志)』 『동문휘고(同文彙考)』 ...
    이칭별칭북관개시(北關開市)|병설개시(竝設開市)|쌍시(雙市)
  • 쌍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그런데 는 해마다 개시된 반면에 경원개시는 격년으로 개시되었다.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의 다섯해는 회령에서만 열리므로 이를 단시(單市)라 하고, 을(乙)‧정(丁)‧기(己)‧신(辛)‧계(癸) 다섯 해는 회령과 경원 두 곳에서 아울...
    이칭별칭쌍개시

고서·고문서(32)

  • 37758 B037758 녹피 鹿皮 경제산업 大東地誌 권10 함경도 慶源 典故 ... 濟臣遣諸將分三路渡江掩擊諸部巢穴焚其糧械積震斬三百餘級全軍而還○之後岩丘賴達湖戶人及厚春人來易牛犁釜於慶源後以爲例間一年開市 市供摠數 公市牛五十首 犁四十八箇 釜五十五坐右出慶源慶興穩城鍾城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之依前設場, 而亦不無自願之人, 故略給價布, 使之貿取雌雄良馬於中江及, 多數放牧於島中, 以爲取種之地, 不可不先審其形便, 將欲發遣郞廳, 故敢此仰達。 上曰, 先遣郞廳, 察其形勢後爲之。 司僕謄錄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云。 前冬時, 貿得胡馬之種, 其數雖其些少, 待其上來, 若又別擇諸島中善馬之種, 合放於席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其糧械積震斬三百餘級全軍而還○之後岩丘賴達湖戶人及厚春人來易牛犁釜於慶源後以爲例間一年開市 市供摠數 公市牛五十首 犁四十八箇 釜五十五坐右出慶源慶興穩城鍾城 回禮牛價分五等一等每首鹿皮大三領中四領小十領二等每首鹿皮大三領中四領小七領三等每首鹿皮大四領中三領小六領四等每首鹿皮大三領中三領小五...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7757 B037757 녹피 鹿皮 경제산업 大東地誌 권10 함경도 慶源 典故 ... 將陷申砬與柔遠僉使李璞從黃拓坡間道直馳突圍賊仍退尙節與砬追賊斬七十級直擣其部落而還一云李濟臣遣諸將分三路渡江掩擊諸部巢穴焚其糧械積震斬三百餘級全軍而還○之後岩丘賴達湖戶人及厚春人來易牛犁釜於慶源...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함경도 회령에서 청나라와 통상하던 무역시장. 1628년(인조 6) 정묘호란 이후부터 청나라의 강요에 따라 교역이 이루어졌으며, 양국 관헌의 감시하에 공무역을 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점차 영고탑·오라 및 봉천·북경상인까지 몰려와 밀무역이 성행하였다. 1884년

  • 단시 / 單市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여진족과의 공개무역이었던 한 곳에만 열렸던 무역. 이는 한 곳에서만 개장되는 무역으로 매 격년, 즉 자(子)·인(寅)·진(辰)·오(午)·신(申)·술(戌)년에 행하여졌다. 반면, 축(丑)·묘(卯)·사(巳)·미(未)·유(酉)·해(亥)년에는 두 곳에서

  • 쌍시 / 雙市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대청무역으로 회령과 경원 두 곳에서 열렸던 국제시장. 인조 이후 조선과 청나라와의 공무역은 회령과 경원에서 각각 시작되어 북관개시 또는 북도개시라 일컬어졌다. 그런데 는 해마다 개시된 반면에 경원개시는 격년으로 개시되었다. 갑·병·무·경·임의 다섯해